견우와 직녀는 16광년 떨어져 있어 과학 품은 전래 동화
윤초록 지음, 김윤정 그림 / 풀빛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그 토끼와 거북이, 견우와 직녀, 도깨비 감투 등 정말 재밌는 전래동화를 읽으면서 한번쯤 궁금해 하지 않았나요? 과연 왜 토끼는 달리기를 잘하고 거북이는 못할까? 견우와 직녀는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었던 걸까? 등등요.


풀빛 출판사의 <과학품은 전래동화>시리즈는 우리가 좋아하는 전래동화와 그 속에 담긴 과학지식을 쉽고 재밌게 알려주는 책이에요. 여러가지 우리가 몰랐던 과학적 사실도 배우고, 전래동화 속 삶의 지혜도 얻는 아이들이 읽으면 참 좋은 책 오늘은 그 시리즈 중에서 <견우와 직녀는 16광년 떨어져 있어>를 읽어보았어요.


​제목부터 너무나 호기심을 불러일으킵니다. 과연 어떤 과학적 사실이 숨어있는 걸까요?

책의 차례를 보면 총 6가지의 전래동화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어요.

전래동화는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토끼와 거북, 견우와 직녀, 대동강을 판 봉이 김선달, 방귀쟁이 시합,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그리고 도깨비 감투랍니다.


먼저, 생동감있는 그림이 더해진 전래동화를 읽어봅니다. 글밥도 많지 않고, 재밌는 그림까지 더해져서 읽는 재미가 쏠쏠하고 쉽게 술술 잘 읽힌답니다.

때로는 네컷 만화처럼 구성된 부분도 있어서 더 생동감있고 재밌게 읽을 수 있어요.

​​이야기가 끝나면, 책 속 전래동화가 품은 과학 이야기가 나온답니다.


실제로 견우성과 직녀성은 16광년이나 떨어져 있대요. 빛의 속도로 날아가도 16년이나 걸리기 때문에 1년에 한 번 만나는 것도 현실적으로는 어려웠을 거라는 거죠. 실제로 우리가 보는 별과 별 사이의 거리는 우리가 느끼는 것보다 훨씬 멀다고 하니 정말 신기합니다.

그리고 흔하게 들어봤던 은하수가 어떤 뜻인지도 알려주는데요. 은하수는 수많은 별들이 모인 것으로 별이 강처럼 흐른다고 해서 은하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해요. 음력 7월 7일 공기가 맑고 인공적인 빛이 없는 곳에서 하늘을 올려다 보면 볼 수 있다고 하는데 꼭 한번 저와 호진이도 보고 싶네요.^^


<봉이 김선달> 이야기에서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물오염 문제도 알려줍니다. 여러 쓰레기 때문에 물 속에는 중금속과 미세 플라스틱이 녹아있다고 하는데, 정말 큰 일이에요. 더이상 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할 때인듯 합니다.

이 처럼 책 속에서 핵심만 쏙쏙 머리속에 잘 들어오게 잘 모르는 단어도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고, 한걸음 더 나아가 여러 과학 상식에 대해서도 폭넓게 알려줍니다. 호진이는 <도깨비 감투>를 읽고 투명인간에 대해서 제일 재밌게 읽었다고 하더라구요. 아직까진 과학적으로 사람이 투명인간이 되는 건 불가능하다고 하지만, 상상속에서의 투명인간을 생각해보면 정말 신기하고 재밌을 거 같아요.


우리 조상들의 삶과 지혜과 담긴 전해내려오는 이야기인 전래동화는 계속 읽어도 재밌고 교훈적입니다. 이 전래동화와 함께 동화속에 숨겨진 과학을 찾아보면 더욱 유익하고 즐거운 책읽기가 되는 거 같아요.

풀빛의 <과학품은 전래동화> 다른 시리즈도 더 찾아서 읽어봐야겠어요. 과학 좋아하는 미취학 아동부터 초등학생까지 재미나게 읽을 수 있는 풀빛의 <견우와 직녀는 16광년 떨어져 있어> 정말 추천하고 싶어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