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섬에서 온 초대장 즐거운 동화 여행 180
양지영 지음, 이소영 그림 / 가문비(어린이가문비)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해도 되지 않는 플라스틱 사용량이 1인당 연간 42kg에 달한다고 해요. 한사람이 생수 페트병과 컵은 100개 넘게, 일회용 비닐봉투와 배달용기는 무료 500개가 넘게 사용한다는 것인데 하지만, 이 중 재활용되는 건 10개 중 채 2개도 안된다고 합니다. 결국 8개는 그냥 버려진다는 것인데 가장 큰 문제는 플라스틱은 잘게 부서질 뿐 분해가 안된다는 것이에요.

5mm이하로 부서진 미세 플라스틱은 썩지 않고 땅과 바다로 흘러 들어가 지구 전체를 오염시키고 바다 및 육지 생물, 공기, 비 등 우리 주변 모든 곳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되면서 우리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지요.


생각없이 함부로 버린 플라스틱 쓰레기가 이렇게 큰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어 지구의 모든 생명체에 아픔을 주고 위협을 가한다고 하니 정말 무섭게 느껴집니다.

아이들에게도 환경을 사랑하고 지구를 지킬 수 있도록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않고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라고 단순히 말로 전달하고 알려주는 것도 좋지만, 이렇게 환경동화책을 읽어보면서 환경 오염의 페혜와 자연보호에 대한 중요성을 느끼는 게 더 효과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이렇게 좋은 기회에 가문비 어린이에서 나온 초등환경동화책 <쓰레기섬에서 온 초대장> 이라는 책을 읽어보게 되었답니다.


3학년 서준이는 몰래 쓰레기를 버리다 환경 지킴이 아저씨에게 들켜서 환경교육을 3시간 받고 쓰레기도 주워야 한다는 벌을 받습니다. 다음날 수호와 함께 쓰레기를 주으러 학교 근처 바닷가로 나가게 되죠.

바닷가에서 쓰레기를 줍다가 갑자기 하늘에서 맴도는 새가 떨어뜨린 빨간 플라스틱 조각을 줍게 되요. 거기에는 <거북섬 초대장>이라고 씌여져 있었어요.

출렁이던 바다의 물길이 열리고 서준이는 수호와 함께 거북섬으로 가게 되요. 처음 가본 거북섬은 제법 컸어요.

그런데 거북섬이 좀 특이합니다.

칫솔이 땅 속에 뿌리를 내리고 나무처럼 자라고

꽃에는 향기가 나지 않아요.

버려진 밧줄은 뱀처럼 똬리를 틀고 천천히 움직여요.

방앗간으로 가보지만, 분쇄기에는 플라스틱 알록달록 가루만 쏟아내고 있고, 배가 고파 들른 근처 천년 식당에서는 줄 우동, 고무 튀김, 흰 가루 빙수, 먹물 떡볶이, 생선 크로켓을 팔고 있었어요. 하지만, 우동은 고무줄이라 질기고 쓰레기로 만든 음식이라 도저히 먹을 수가 없었어요.

아이들이 먹지를 못하자 천년식당 주인 할머니는 대왕문어로 변하며 호통을 칩니다.

물고기도 먹는데 너희는 왜 못먹냐?

너희도 먹어야 공평하지!


거북섬은 쓰레기섬이었어요. 바닷가에는 물고기가 배를 허옇게 뒤집은 채 둥둥 떠다녔고 주변에는 스티로품 알갱이가 잔뜩 뿌려져 있어요.

꽃섬에서 만난 할머니는예전에는 거북선 물이 맑아서 거북이가 많이 살았다고 예전에는 가장 경치가 좋은 섬이었다고 이야기해 줍니다. 그리고 꽃섬도 거북섬처럼 될까봐 꽃섬을 지키고 있다구요.

거북이가 모여살던 깨끗한 섬은 결국 섬에 놀러온 사람들이 망친 것을 알게 되고 수호와 서준이는 미안한 마음이 들게 됩니다.

다시 거북섬을 빠져나온 아이들은 멀리 꽃섬과 거북섬을 바라보며 함께 거북선 수호대가 되어 쓰레기도 주우며 바닷가를 지키자고 다짐합니다.

환경을 위해 우리는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지구의 건강이 우리 손에 달려 있어요. 일단 나부터 그리고 우리부터 쓰레기는 함부로 버리지 말고 일회용품 사용도 줄이기로 에너지 절약도 하기로 호진이와 함께 약속했어요.

자연에게 떳떳한 호진이가 되겠다고 호진이도 새끼 손가락 걸고 다짐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