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성 이론이란 무엇인가?
제프리 베네트 지음, 이유경 옮김 / 처음북스 / 201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인슈타인은 인류 최고의 천재라고 전 세계 대부분의 사람들로부터 시대와 공간을 넘어 인정받는 위인중의 위인이다. 이 책은 아인슈타인의 천재성을 모두에게 깊게 각인시킨 그의 상대성 이론에 대한 책이다.

상대성 이론은 과거 학창시절 물리시간과 지구과학 시간을 통해서 배웠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상대성 이론하면 떠오르는 공식 E=mc2이 있다. 그리고 나에게는 그것뿐이었다. 하지만 학교를 졸업하고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상대성 이론은 자연과학 이론이 아닌, 인문학과 관련된 철학적인 의미로 나에게 다시 인식되었다. 그리고 이 책을 보고, 아이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다시 이해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상대성 이론을 일반상대성과 특수상대성으로 나누어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예시나 일화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과학시간에서 학습하던 것과는 조금 더 친숙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다수의 번역서를 통해 느끼는 가장 큰 단점이긴 하지만 이 책 또한 번역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생각이 책을 읽는 내내 들어서 책의 내용에 완전히 몰입하여 이해하는 데 조금 힘들 게 느껴지긴 하였다. 하지만 어쨌거나 책의 구성은 이미지 등이 추가되어 상대성을 이론을 쉽게 이해시키려는 독자의 노력이 돋보였다. 간단히 말하자면 특수상대성은 중력이 없다는 가정하의 이론이며, 일반상대성은 중력이 있음을 전제로 한 이론이다.

이 책을 통해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아인슈타인은 ‘세상은 단순하다’는 진리를 토대로 이러한 원리들을 발견해내었다는 것이다. 이 내용은 과거 내가 아인슈타인의 명언을 접했을 때 아인슈타인에 대한 나의 감정이나 생각이 바뀐 것과 같은 느낌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 주었다. 그 전까지 나는 아인슈타인에 대해 늘 어려운 것만을 생각하는 마치 대화가 잘 안 통할 것 같은 사람일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의 명언 중에 ‘6살 아이에게 설명하지 못하는 것은 스스로도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라는 말을 보고는 누군가를 위해 친절한 사람일 것이라는 생각으로 바뀌었다. 이 책에서 그가 신념처럼 가지고 있었던 ‘세상은 단순하다’ 라는 진리 또한 그를 다시 보게 만들었다. 참으로 멋진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세상은 단순하다는 지극히 근본적인 원리를 바탕으로 단순한 공식으로 이것을 설명하였다. 그의 공식이 단순할 수 있었던 건 아무래도 아주 어린아이들에게도 상대성 원리를 설명할 수 있어야 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에게 닥친 일들을 복잡하고 다루기 힘든 것으로 생각하고 난처해하고, 두려워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막상 그 일들은 단순할 뿐이다. 모든 일들을 단순하게 생각한다면 그 일들을 우리는 모두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인슈타인은 과학자이지만, 인문학적으로 그에게서 배울 것은 참으로 많다.

상대성 이론 또한 인문학적으로 이해가 가능하다. 이 부분이 책의 마지막부분에만 잠시 다뤄져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었지만, 인문학과 융합하여 다루었다는 것이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나는 참 좋았다. 이 부분이 조금 더 한 챕터로 다루어졌다면 보다 더 훌륭한 책이 아니었을까 아쉬움도 있다. 어쨌거나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는 모두 거의 비슷한 속도로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모두가 비슷한 속도이기에 우리의 삶이 빠르다고 느리다고 느끼지 못해 보다 소홀히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 게 아닌 가 싶다. 가끔 하루살이를 떠올리며, 지금 보내는 1초, 1분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생각해본 적이 있다. 지금 우리는 우리가 사는 이 시간을 보다 상대성 이론에 근거하여 생각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남들보다 더 소중한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모처럼 자연과학적 지식과 인문학적 지식을 융합해본 행복한, 의미 깊은 시간을 보낸 것 같아 참으로 뿌듯했다. 다른 사람들에게 이 책을 통해 내가 보낸 시간과 같은 의미있는 시간을 갖기를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