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가 원하는 강한 남자 되기
엘리엇 카츠 지음, 엄홍준.이혜진 옮김 / GenBook(젠북)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허즈번드쉽(Husbandship) : 남편답게 되기 위한 행동, 남편답게 된다는 것은 집안의 가장이 되는 것을 뜻하고, 능력과 절제를 통해 가정을 관리하는 사람이 되는 것을 뜻함. 즉 집안을 신중히 관리하고 경제적으로 현명하게 소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치 신조어 같지만, 11세기부터 옥스퍼드 사전에 제시되어 있었다고 한다.

아줌마가 남, 녀 그리고 제 3의 성이 되었듯이 남편 또한 제 4의 성으로서 여겨져야 할 것 같다. 분명 남자와 남편은 달라야 하지 않을까? 아줌마와 여자가 다르듯이..

생물학적 기준이 아닌, 사회문화적 기준에 의해 이렇게 제 4의 성까지 나뉠 수 있을 것이다.

언제 부턴가 여자에게 지고 사는 것이 편하게 사는 방법이라는 말이 남편들 사이에서 각인되어 왔다. 그리고 그것을 보고 자란 아들 딸들 또한 그런 부모들의 행동을 모델링처럼 모방하고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의 사회가 정의하는 남편다움의 의미는 어떻게 변화할까 궁금해진다.

이 책에서는 강한 남자와 독재적이고 권위적인 남자를 구분하고 있다. 무조건 아내의 말을 무시하고 자기 고집대로 판단하고 이끄는 사람도 분명 강한 남자가 아닌 약한 남자라고 말하고 있다. 강한 남자는 책임을 질 수 있는 범위를 넓히고, 그에 따른 자신의 결정권한을 피력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만약, 여자의 의견이 옳다면, 자신의 의견을 흔쾌히 수정할 수 있는 사람도 강한 사람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이 책을 읽다보면, 아담과 이브의 이야기부터 남편과 아내의 입장이 어떠해야 하는지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편견을 조금 갖자면 너무 남편의 입장에서 썼기에 아내의 존재를 무시하고 있지는 않나 그런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제목 그대로 여자가 원하는 강한 남자에 초점을 맞추다보면, 이 책의 내용에 설득 당하게 된다.

만약, 내가 결혼한다면, 진정으로 이 책을 내 남편에게 읽히고 싶다. 여자는 자신의 하인을 남편으로 두고 싶어 하지 않는다. 존경하고 싶은 사람을 남편으로 두고자 한다. 난 이 말에 100% 동감한다.

그리고 만약 이 책에서 권위적이고 힘만 강한 남자와 비교하지 않았다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분명 이 책의 좋은 내용들을 잘못 이해한 남자들이 많았으리라 아찔한 생각마저 든다.

강한 남자는 가정에 관심을 갖고, 내 아이의 문제점, 우리 가족의 걱정거리들에 관심을 갖고, 그들 모두를 책임지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다. 또한 경제권한에 있어서도 아내와 함께 협력하며 함께 결정하고 함께 책임을 지려고 하는 사람이다. 많은 책임을 질 수 있을 만큼 능력이 위대한 사람이 결정도 내릴 수 있다고 한다. 결정을 한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나폴레옹이 결정을 내리는 일 만큼 어려운 일은 없다고 말했다. 그 만큼 잘못된 결정에 어떠한 책임을 질 수 있을지도 미리 생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 아닐까?

요즘 남편들은 돈 만 벌어오면 된다는 식으로 가정과 분리된 채 살아가고 있다. 아내들은 진정으로 그런 남편을 원하지 않는다. 함께 가정에 대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협의하고 의논하고 결정하고 책임지기를 원한다.

페이지 수도 적고, 내용도 할아버지와 손자의 대화내용이기에 쉽게 술술 읽혀나간다. 하지만 이 책을 읽는 사람들에게 조금은 천천히 음미하며 읽기를 바란다.

정말 별 5개를 주어도 아깝지 않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