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을 지키려는 고양이
나쓰카와 소스케 지음, 이선희 옮김 / arte(아르테) / 201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왜 책을 읽으시나요?"
서면이나 기록용 필름 인터뷰를 몇 번 한 적이 있는데 그때마다 저 질문은 꼭 따라오더군요. 때가 되면 배가 고프지 않으냐, 밥 먹는 것처럼 책이 고프니 책을 읽는다고 대답했습니다. 책을 읽는 것을 당연한 일로 대답하는데, 납득을 못하거나 겉 멋든 대답으로 여길지도 모릅니다. 그렇다고 '몰라요. 그냥 읽어요.'라고 할 수는 없잖아요. 좋아하는 데 이유가 필요한가요. 3일만 안 읽어도 그리운걸. 제 블로그명이 책 읽고픈 날인데요. '책, 읽고픈 날'이 될 수도 있고 '책이(ㄺ) 고픈 날'로도 읽힐 수 있게 중의적으로 지은 블로그 이름입니다. 저는 책이 그립고 고프기에 책을 찾습니다.
책을 잘 안 읽는 사람에게 이유가 수십 가지가 있는 것처럼 책을 읽는 사람에게도 수십 가지의 이유가 존재할 거예요. 각자의 방식으로 책을 사랑하고, 원하고, 취급합니다. 그 방법 중 어떤 것이 그르고 어떤 것이 옳다고 할 수는 없을 거예요. 이유만큼이나 방법도 다양한 거니까요. 저처럼 접는 금 하나도 용납지 않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책 끝을 접어가며 읽는 사람도 있잖아요.
나쓰카와 소스케의 <책을 지키려는 고양이>에도 이런저런 방법으로 책을 사랑하고 다루는 몇 명의 사람이 등장합니다. 책을 읽고 쌓아두고 전시하는 타입의 사람, 책을 이리저리 잘라서 줄거리만이라도 전하려는 타입의 사람, 잘 팔리는 책만을 만드는 출판사 사장... 얼룩 고양이 얼룩이와 할아버지를 잃고 고서점에 틀어박힌 외톨이 소년 린타로가 책의 미로를 지나 그들을 만나고 그들의 방식이 옳지 않다고 말합니다. 그들이 책을 사랑하는 것은 맞지만 잘못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하는데요. 자신만의 방식으로 책을 사랑하는 그들에게 방식이 반드시 옳다고, 그르다고 할 수는 없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고양이는 이야기의 안내자이자 미궁의 안내자입니다. 표지와 제목에서 느꼈던 분위기로는 좀 더 중심에 있을 것 같았는데, 은하철도 999로 치자면 철이를 보호하는 메텔보다 기차의 차장 정도의 역할입니다. 모든 일을 판단하고 해결하는 건 소년 린타로거든요. 누구보다 책을 사랑하던 할아버지, 그 할아버지를 사랑하고 할아버지가 사랑하던 책을 사랑한 린타로였기에 얼룩이가 안내한 곳에서 만난 사람에게 제 목소리를 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할아버지의 혜안이 그의 마음에 함께 있었습니다. 린타로는 결코 혼자가 아니었습니다.
이야기의 흐름이나 배경은 미야자와 겐지의 글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래서 21세기의 '은하철도의 밤'이라는 이야기를 듣나 봅니다. 여러 유형의 인물을 등장시켜 좀 더 이야기를 길게 만들거나 시리즈로 해도 좋지 않은가 하는 아쉬움이 남는 것 역시 '은하철도의 밤' 같습니다.
겉으로만 훑으며 읽으면 그냥 동화 같을 뿐인 소설입니다. 하지만 때로 읽기를 멈추고 책과 나에 대해 생각하게 되는 건 이 책이 지닌 철학적인 힘 때문일 겁니다.
무턱대고 책을 많이 읽는다고 눈에 보이는 세계가 넓어지는 건 아니란다. 아무리 지식을 많이 채워도 네가 네 머리로 생각하고 네 발로 걷지 않으면 모든 건 공허한 가짜에 불과해.
-p.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