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몬드 (양장) - 제10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손원평 지음 / 창비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자신의 불행을 타인의 행복 탓으로 돌리는 한 인간의 손에 '나'를 온전히 이해해주고 사랑했던 가족을 잃었습니다. 할멈은 죽고, 엄마는 식물인간이 되었습니다. 그래도 '나'는 외롭거나 슬프거나 무섭지 않았습니다.
<아몬드>의 작중 화자인 윤재는 알렉시티미아로, 감정 표현 불능증입니다. 이런 증례의 사람이 있다는 건 책에서나 인터넷 어디선가 몇 번 보아 알고 있었지만, 이름을 알게 된 것은 처음입니다. 하긴 이내 잊어버릴 텐데 이름을 알게 된 것이 무슨 소용일까요. 알렉시티미아는 후천적이거나 선천적인 이유로 편도체가 작거나 축소되어 감정을 제대로 느끼거나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증상인데요. 희로애락의 표현 때문에 겪는 불편함과 이질감 - 은 상대가 느끼는 것이지만, 본인에게서 가장 위험한 건 '공포'를 느낄 수 없다는 것입니다. 공포란 인류가 살아남기 위한 중요한 감정으로 두려움이 제거된 상태라는 건 무방비하게 위험에 노출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눈앞에서 할멈과 엄마가 묻지 마 폭행을 겪는 순간에도 말입니다. 그래요. 아무런 감정을 느끼지 않았던 건 아닙니다. 식당의 유리문을 열고 나가려고 했으니까요. 죽음의 공포와 생존의 본능보다는 엄마와 할멈을 구하고 싶었던 겁니다. 그 감정이 무엇인지 몰랐을 뿐이지.
엄마는 윤재에게 아몬드를 많이 먹였습니다. 편도체를 닮은 아몬드를 많이 먹으면 좋아질 수도 있다는 희망에, 사랑과 두려움 같은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아이로 자라나길 소망하는 마음에 아몬드를 주었습니다. 아몬드나 호두 같은 견과류를 꾸준히 먹어 왔지만 결국 뇌가 쪼그라드는 파킨슨 증후군을 앓고 있는 한 노인을 알고 있기에 과연 그런 게 소용 있을까 싶지만, 한때 아이의 아토피를 치료해보겠다고 이런저런 것들을 발라주며 괴로움에서 벗어나길 바랐던 저이기에 윤재 엄마의 마음을 조금은 알 수 있었습니다. 임신 중에 했던 몇 번의 흡연 같은 좋지 않은 행동 때문에 윤재가 이렇게 된 것 같아 마음 아파했던 것도 조금은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할멈과 엄마는 아이에게 사랑을 주고, 감정을 익히게 해주었습니다. 비록 사건이 나던 날까지 감정을 살리는 데는 실패했지만요.
엄마를 병원에 두고 할멈의 장례를 치르던 날에도 눈물은 나지 않았습니다.
아동 센터에 가는 대신 자립을 선택한 윤재는 엄마의 헌책방을 운영하며 학교에 다닙니다. 건물주이자 빵집 주인인 심 박사는 윤재의 멘토가 되어 줍니다. 각자 가진 아픔의 크기는 다르지만 그 크기를 가늠할 수 없는 윤재가 안타깝습니다. 윤재는 전학생 곤을 만납니다. 언제 터져버릴지 모르는 니트로글리세린 같은 아이 곤은 윤재와 너무나 달랐습니다. 아니, 너무나 닮았습니다.
윤재와 곤은 '표현할 줄 모르는 아이'들이었습니다.
윤재는 자신을 포함한 사람의 감정을 읽을 수 없어 그랬고, 곤은 넘쳐나는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는 방법을 몰랐습니다.
그런 두 아이가 만났습니다.
나는 그런 결말이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다. 마치 이 세상에 정해진 답은 없다고 말해주는 것 같았다. 그러니까 남들이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한다고 해서 꼭 정해진 대응을 할 필요도 없는 게 아닐까. 모두 다르니까, 나같이 '정상에서 벗어난 반응'도 누군가에겐 정답에 속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p.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