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라리 개인 게 낫겠어 - 개, 고양이 암 전문 수의사는 어떻게 갑상샘암을 이겨냈나
세라 보스톤 지음, 유영희 옮김 / 책공장더불어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저는 동물을 못 키웁니다. 어렸을 때 키웠던 고양이들, 성인이 된 후 키운 개들이나 그리고 소동물들의 고통을 이젠 더 이상 감당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건강하고 발랄할 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지만, 아플 때는 정말 힘들어요. 그러다가 죽기라도 하면 너무나 마음이 아픕니다. 햄스터 같은 소동물은 생애 주기가 짧기 때문에 건강하게 살다 죽는다 해도 저나 아이에겐 큰 상처로 남지요. 그런 이기적인 이유로 다시는 동물과 함께 살지 않기로 했습니다.
며칠 전 저희 집 지붕에서 - 어쩌면 지붕 아래, 천장 위의 공간에서 뛰어노는 고양이와 마주쳤습니다. 그전까지만 하더라도 막연하게 고양이로구나... 했었는데, 실제로 만나고 나니까 걱정이 되지 뭡니까. 어디 아프거나 다치면 어떡하나 하고요. 잠시 대구에 살 때 반월당 근처의 펫샵에서 골든 햄스터를 한 마리 데리고 왔습니다. 골든이니까 이름은 금동이라고 지었는데요. 한 달도 지나지 않아 녀석의 상태가 이상해졌습니다. 귓바퀴에 상처가 생기는 듯하더니 어느 날 갑자기 툭하고 귀가 떨어져 버렸어요. 놀라서 펫샵 맞은편의 동물병원에 갔는데요. 수의사는 그걸 보고 뭘 어쩌라는 거냐는 표정으로 절 보더군요. 원인은 알지도 모른 채, 치료도 받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포비돈이나 대충 발라주래요. 결국 며칠 후 금동이는 우리 곁을 떠났습니다. 그 뒤에도 몇 마리의 햄스터, 금붕어를 보내고, 제주에 와서 다시 골든 햄스터를 데리고 왔지만 얼마 가지 않아 갑자기 죽어버렸습니다. 작은 동물이라도 고양이나 개가 죽었을 때와 같은 정도의 상처를 받았습니다. 겹겹이 쌓인 상처는 더 이상 동물을 기르지 않겠다고 선언하게 만들었지요. 생명과 함께 하는 건 그게 사람이건, 사람을 제외한 동물이건, 그리고 식물이건 모든 걸 함께 할 수 있다는 용기가 필요한 일인 것 같습니다.
<차라리 개인 게 낫겠어>라는 책은 개나 고양이의 암을 전문으로 치료하는 수의 종양외과의가 어느 날 자신이 갑상샘 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고, 치료를 받으며 절망했다가 그 절망에서 다시 일어나는 과정을 이야기합니다. 더불어 암에 걸린 동물들이 얼마나 의연하게 대처하는 가에 대한 것, 그리고 보호자들의 태도나 아픔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동물의 의료체계와 인간의 의료체계를 비교하며 이야기하기도 하고, 느려터지고 답답한 치료 과정, 의사소통에 대해서도 거리낌 없이 이야기하는데요. 우리나라의 의료체계와는 다르니 약간 동떨어진 이야기처럼 들리더군요. 하지만 솔직히, 저는 우리나라의 암 치료 과정에 대해서도 잘 몰라요. 그러니 어느 정도 다른 이야기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최근에 대학병원에서 뭔가 알 수 없는 이유로 환자를 다른 선생님께 보내길 꺼렸던 한 의사 선생님의 이야기를 듣고 분개했었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순조롭지는 않다는 것만 어렴풋이 짐작할 뿐입니다.
이 책에 대한 자세한 리뷰는 하기 어렵습니다. 책에 관한 설명은 제가 하는 것보다 출판사 서평이나 책 뒤편을 읽는 편이 나을 것 같습니다. 무척 정직하게 책의 내면을 요약해두었으니까요. 표지를 제외한 책의 재질에 잠시 당황했습니다. 예전에 갱지나 신문용지라고 불렀던 종이로 되어 있거든요. 평소엔 그 종이를 무척 좋아합니다. 일부러 구입해서 연습장으로 쓸 정도니까요. 그러나 책의 재질로서 만난 건 예전에 영어 원서 책을 샀을 때 이후, 그러니까 거의 20년 만이었거든요. 하지만 책 뒷면 하단에 환경과 나무 보호를 위해 재생지를 사용했다는 문구를 보고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책을 만드는 과정에서부터 자연을 아끼는 출판사로구나 하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