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깊이에의 강요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김인순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향수>,<좀머 씨 이야기>로 유명한 작가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단편집입니다. 무척 얇은 책인데요. 세 편의 소설과 한 편의 수필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저는 아직 <향수>조차 읽지 않아서, 이번이 쥐스킨트와의 첫 만남입니다. 집에 얌전히 꽂혀 있는 향수는 언제쯤 꺼내 읽을까요.
단편집의 맨 처음 수록되어 있는 <깊이에의 강요>는 작품에 '깊이가 없다'라는 비평가의 말 때문에 깊은 고민에 빠진 데다가 예민해진 한 화가가 비극적인 결말을 선택한다는 이야기인데요. 정말 어이가 없는 건, 그녀가 죽은 후 '깊이가 없다'라고 했던 평론가가 한 이야기입니다. 깊이가 없다는 말 때문에 자신에게 없는 깊이가 무언인가 끊임없이 고민하고 괴로워했던 그녀의 인생이 죽음으로 끝났으니 깊이가 생긴 거라면, 그런 깊이는 필요 없어요. 그녀도 비평가의 말에 너무 귀를 기울였죠. 자존감을 가졌어야 했는데요. 저 사람은 내 그림을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했다며 정신 승리를 했더라면, 비극은 없었을 텐데 하는 마음에 정말 아쉬웠습니다.
그러고 보면 요즘은 그런 일들이 참 많아요. 자신의 작품을 세상에 드러내는 방법은 - 온 오프라인을 통해 참 많죠. 사람들이 몰려와 칭찬하기도 하고 비난하기도 합니다. 제대로 된 비평도 있겠지만, 그냥 심심해서 몰려오는 악플러들도 있어요. 알아서 걸러내야 합니다. 비난과 비평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해요. 비평가라는 이름으로 근거 없는 비난을 하는 사람도 있지만 수용할 것과 버릴 것을 알아서 구분하고 챙겨야겠죠.
간혹 출판사나 작가가, 블로거가 쓴 리뷰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찾아와 이런저런 덧글을 달거나 글을 내려달라고 요청하는 일이 있는 걸로 압니다. - 저는 아직 그런 일이 없었지만요, 그리고 없길 바랍니다. - 너무나 파괴적이고, 편파적이고, 모독적이 아니라면 어느 정도는 수용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세상 사람들은 당신의 엄마가 아니니까 오구오구 할 수는 없잖아요. 기분이 나쁠 겁니다. 하지만 정신 승리하면 되잖아요. 고든 램지의 키친 나이트 메어에선 지나친 정신 승리로 제정신이 아닌 식당 주인이 많이 등장하긴 합니다만. 적정한 선에서 수용과 거부를 잘 조절해야 합니다. 쉽지 않지만 노력해야겠죠.
나머지 작품 <승부>, <장인 뮈사르의 유언> 은 긴장감 있는 단편이었습니다. <승부>에선 사람들의 짐작과 실제의 마음이 전혀 다르다는 걸 긴장감 있게, 위트 있게 보여주는데요. 그렇죠. 어떻게 알겠어요. 보수와 진보의 싸움이라고 확대해석해도 좋을는지. <장인 뮈사르의 유언>은, 그래요. 우리는 조개였어요. 맞아요. <...... 그리고 하나의 고찰>과 더불어 공감 가고 납득되었어요. 특이한 시선이더군요. 그런 거 무척 좋아해요. 맞아요. 우리는 어쩌면 조개인지도 몰라요.
책은 무척 얇았지만 그 안에 들어 있는 것들이 이렇게 클 줄은 몰랐어요.
좋은 책을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