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담뺑덕
백가흠 지음 / 네오픽션 / 2014년 10월
평점 :
이런 소설 싫습니다. 권선징악적 코드나 개그코드, 희망, 힐링 같은 것이 반드시 들어가 있어야 하는 건 아니지만 어두침침하고 곰팡내 나는 공간에서 눅눅한 살덩어리 마주 비벼대다가 결국 빛이 있으되 빛이 아닌 매캐한 곳으로 추락하고 마는 엉클어진 결말은 무척 싫습니다. 희망과 빛은 말 그대로 희망사항일 뿐이라고 말하는 양. 이렇게 칙칙한 것이 실제의 삶이라고 말한다면 차라리 지옥이 천국일 것입니다. 음울하고 망그러진 삶을 회복하려 하기는커녕 발을 질질 끌며 나락으로 한 발 한 발 다가가고 주의 사람들마저 자신의 암흑 속으로 끌어들이며 그것을 사랑이라고 말하는 뻔뻔함이라니. 소리 지르고 싶을 만큼 화가 나고 짜증 납니다.
아주 어린 시절 심청전을 보았을 때는 효녀로구나, 효행은 자신의 목숨을 바쳐서라도 하는 것이로구나 하는 생각을 했었지만, 아이들로 하여금 그들의 희생은 부모를 위해 당연히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하기 위해 어른들이 지어낸 이야기라는 것을 자라나면서 슬슬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심청이는 공양미 삼천 석에 아비 눈 뜨게 하려고 인당수에 뛰어들었는데...라는 말은 여러모로 편리한 이야기가 되었으니까요. 그러니, 심청전 자체가 잔혹동화였습니다. 가진 것 없는 주제에, 어린 딸이 벌어오는 것으로 연명하는 주제에 눈 뜨게 해준다는 말에 공양미 삼백 석을 덜컥 약속하고, 그것도 모자라 딸에게 그 사실을 털어놓다니. 내가 부처님과 이런 약속을 했으니 네가 어떻게 해보라고 하는 은근한 강요가 아니고 뭐였겠습니까. 원작에서의 심학규는 그런 인간이었습니다. 자기만 아는 이기적인 인간. 청이는 달아나고 싶었을지도 모릅니다. 이기적인 아버지에게 한몫 챙겨주고 인당수에 빠져 자살함으로써 긴 괴로움에서 벗어나고 싶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런 청이를 심학규는 이해할 수 있었을까요. 뺑덕어미에게 모든 재산을 다 뜯긴 것도 자업자득입니다.
그가 던지듯 건넨 돈 봉투를 꼭 움켜쥐고 살아야겠다고 다짐했다. 살아남아서 복수하겠다고 결심했다. 지나간 사랑의 다른 이름은 복수다. 그것은 원래 한 몸이어서 변화하는 과정이나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다만 계기가 필요한 것뿐이었다.
p.1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