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계량스푼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정경진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말에는 힘이 있다고 합니다. 우리 말에도 말이 씨가 된다는 표현도 있고, 일본 만화를 보면 언령을 다루는 소재가 많습니다. 아마도 말을 조심히 가려서 하라는 의미에서 나온 것들일 겁니다. 말의 힘이라는 것이 실제하는 것 같은게, 생각없이 뱉은 말이 들은 이의 가습에 콕 박혀버리는 경우도 있고, 염원을 담아 말을 하면 이루어지기도 하는 경우, 겪어보셨잖아요.
<나의 계량 스푼>의 주인공 ... 나이, 이름이 뭐였지? 그러고보니 이름을 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1인칭 시점이므로 계속 '나'라고 이야기하고 주변에서는 이름을 부르지 않습니다. <노인과 바다>에서의 노인도 이름은 있었는데... 아무튼, 주인공 '나'는 초등학교 4학년이고 '만약 니가 ...하지 않으면, ...하게 될거야.'라는 영어시간에 들어본 가정법 같은 이야기를 사용하면 언어의 주박으로 상대방에게 저주를 내릴수 있는 특수능력을 지녔습니다.
처음으로 그 능력을 알게 된 것은 단짝 친구 후미의 피아노 연주회 날이었습니다. 잔뜩 긴장해 있는 그 친구에게 용기를 주기 위해서 지금 연주를 하지 않으면 너는 후회하게 될거야라는 말을 하고 후미는 용감하게 연주하러 가지요. 엄마는 경악합니다. 그 집안에는 언령을 지닌 아이가 가끔씩 태어나는데, 그것이 자신의 아들이라는 것에 충격을 받고 아이에게 그 능력을 사용하지 않기로 신신당부합니다. 그러나, 2년후 학교에서는 끔찍한 사건이 발생합니다. 근시에 치아교정까지 하고 있던, 마음씨 착한 후미는 친구들에게 이용당하기는 하지만, 진짜 친구는 거의 없습니다. 자신의 다정한 마음을 토끼 돌보는 곳에 쏟아붓고 있었는데, 어느 날 침입자에 의해 토끼들은 난도질 당해 죽고, 아픈 '나'를 대신해 토끼를 돌보기로 한 후미는 학교에 일찍 등교했다가 범인도 만나고 토끼의 죽음을 제일 처음 목격한 목격자가 되어버리지요.
그리고, 후미는 충격으로 마음을 심하게 다칩니다. 범인은 의외로 쉽게 잡혔습니다. 그러나 그의 죄목은 겨우 재물손괴죄. 죄없는 토끼들이 몰살당한데다가 후미의 마음은 자폐라고 해도 좋을 만큼 심하게 다쳐 학교에 나올 수 없을 정도인데, 범인에 대한 처벌은 너무 가볍습니다. '나'는 범인을 직접 만나 사과를 받으려 합니다. 사실은 사과를 받으려하는게 아니라 후미의 복수를 하려고 합니다. '내'가 가진 능력으로. 7일 후.
숙부이자 아동심리학과 교수인 아키야마는 주인공과 같은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그의 표현으로는 '조건게임제시능력.'. 이 능력이 어떤 것인가에 대해 7일간 이야기를 나누는데, 아키야마를 만나기 전까지는 이 능력이 사람을 죽게 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이 있다는 것을 몰랐지만, 능력에 대해 알면 알 수록 점점 두려워집니다. 처음에는 능력 설명서 같던 내용이 인간의 본질과 복수, 습성 및 철학적인 의미까지 짚어보게 합니다. 자기 중심적인 인간의 모습. 인간은 남을 위해 울지 않는 존재이며 모든 것은 자신을 만족시키기 위한 행동이라는 견해에 반대하고 싶지만, 한편으로는 납득하고 있습니다. 결국 '나'도 후미를 구하고 싶다는 마음이 진짜 후미를 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위해서라는 것을 깨달은 아이의 마음은 얼마나 아팠을까요
소설은 <츠나구>의 따뜻함과 철학적인 분위기를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한 아이의 영혼을 다치게 할 정도의 큰 사건이 (한 아이가 아니라 학교 전체 아이들인지도 모릅니다) 겨우 재물손괴죄에 해당한다는 것을 그들은, 우리는 납득할 수 있을까요. 책을 읽으며 죽음과 삶, 그리고 어느편에서 생각하느냐에 따라 인간은 이기적일수도 있다는.. 그런 것에 대한 고민마저 하게 만듭니다. 소설의 주인공은 교수와의 대화를 통해 범인에게 내릴 벌을 결심합니다. 그리고, 실행에 옮깁니다. 결말은 해피엔딩. 그렇지만, 그 아이들의 영혼 역시 행복해지긴 한 걸까요.
소설은 그 안에 담고 있는 메시지들을 넌지시 건네줍니다.
하지만, 주인공의 나이에 비해 대화나 생각이 무척 심오합니다. 초등학교 4학년이 아니라 대학교 4학년쯤 되어보입니다. 특수능력자라서 그런가요? 아닙니다. 토끼를 돌보던 후미는 이 아이보다 속이 더 깊습니다. 이런 아이가 있지 않다는 보장도 없지만, 그렇다고 해도 너무 성숙합니다. 미야베 미유키의 <솔로몬의 위증>을 읽을 때도 중학생들 레벨이 너무 높은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번의 아이들은 그들보다 더 높습니다. 그래서 ...뭐...?.... 아뇨. 그냥, 그렇다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