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전달자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20
로이스 로리 지음, 장은수 옮김 / 비룡소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 더 기버>라는 영화의 소개를 TV에서 보고 '호! 참 기발한 설정이군...'하고 생각하고 있던 차에 원작 소설이 뉴베리상 수상, 미국내서 350만부나 팔린 슈퍼 베스트 셀러라고 하니 눈귀가 번쩍 뜨이지 뭔가요. 뉴베리상 뿐만 아니라 여러상을 휩쓴 이 책의 존재조차 모르고 있었다니 당황스러웠습니다.

<더 기버 : 기억전달자>라는 이 책은 미래, 그것도 아주 먼 미래를 그린 소설입니다. '늘 같음 상태'라는 마을에 사는 조너스는 12살이 되는 12월 기념일에 기억 보유자라는 직위를 받게 됩니다.

이 마을은 인간이 감정같은 것 때문에 고통받거나 스트레스 받지 않는 완벽한 행복을 구축하기 위해 사랑도 우정도 없는 상태를 유지하지요. 피부색이나 언어, 심지어 복장까지 모두 동일한 마을입니다. 어떠한 차별도 없어 상항 평안한 상태이며 마을 구성원들은 원로회에서 정해준 스케쥴에 따라 생활합니다.

저녁시간은 온 가족이 하루를 보내며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고, 아침에는 꿈 이야기를 해야합니다. 가족간에도 거짓말은 용납되지 않으므로 솔직히 이야기합니다. 배우자도 신청하면 적절한 사람으로 골라주고 아이들도 '산모'라는 직위를 가진 여성들이 낳은 아이를 신청자에게 12월에 배급해주는데, 한 가정에 남여 한명씩만 배치됩니다. 언뜻 보면 완전한 평등 평화가 있는 세상이지만, 그들이 사는 세상은 무채색의 세상입니다. 컬러라는 것은 사람의 감정을 뒤흔들 수 있기에 그들은 죽어있는 흑백의 세상에서 감정없이 감시당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죠. 나름대로 행복한 것 같습니다.

12월 행사때 가장 영예로운 지위인 '기억보유자'로 임명된 조너스는 지금까지의 기억보유자였던 노인, 지금은 기억 전달자(기버)가 된 노인으로 부터 기억을 전달받습니다. 그로인해 색채가 그에게 돌아왔고 희노애락 뿐만 아니라 사랑, 고통, 공포 같은 것도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조너스는 괴로워 합니다.

더할 나위 없이 완벽한 세상이지만, 지나치게 완벽합니다. 장애인도 없고 쌍동이도 없고, 노쇠한 노인도(어느정도 연령까지는 있지만) 없습니다. 그들은 임무해제 당하는 것이지요. 임무해제의 의미를 어렵풋이 짐작하며 읽고 있었지만 조너스가 직접 확인하는 장면에서는 마음이 쿵 내려앉았습니다.

겉으로는 유토피아 인 듯 하지만, 사실 인간의 모든 감정을 통제 당한채로 그런 마을에서 살아야한다면 그곳은 유토피아가 아니라 디스토피아 일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책의 마지막은................ 잘 모르겠습니다.

영화 < 더 기버>에서는 어떻게 그려졌을까요?

무척 궁금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