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1/22/63 - 1
스티븐 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2년 11월
평점 :
타임슬립이라는 소재는 언제나 저를 매료시켜왔습니다. 특히 미래보다는 과거로의 여행이 그러한데, 확실히 상상 가능한 세상이어서 그렇다기 보다는 모르는 것 투성이인 미래에서 당황하는 주인공보다 과거에서 - 미래를 아는 사람으로서 활약하는 모습이 좀 더 신나기 때문이지요.
스티븐 킹의 <11/22/63>이라는 작품은 책의 뒷면만 보고 덜컥 선택한 책이었습니다. 다른 책들도 앞뒤 표지를 보고 고르는 편이긴 하지만, 뒷면을 읽었을 때는 평범한 서른 다섯살의 교사인 제이크 에핑이 동네 단골 음식점 주인이자 친구인 앨로 인해 1958년 9월로 타임슬립해 1963년 케네디 암살을 막는 대 모험이 펼쳐지는 SF스릴러물이라고 착각하고 말았었지요.
물론 전체적인 흐름으로 보자면 그것도 틀린 이야기는 아니지만, 책을 모두 읽고 나서는 아니라는 생각이 확실히 들게되었습니다.
제이크는 앨이 폐암으로 죽어가면서 JFK의 암살을 막아 달라는 간곡한 부탁에 타임터널 (토끼굴이라 부르는)을 통해 1958년으로 갑니다. 토끼굴을 한 번 통과하면 과거는 리셋되어 다시 1958년 9월 9일에서 시작한다는 희한한 설정이긴합니다만, 어쨌든 갑니다. 첫번째 맛보기 여행과 두번째 학교 수위이자 어두운 과거를 가진 해닝을 어린시절 구해내려는 시도를 통해 과거를바꾸는 것이 반드시 플러스인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지만, 만일 케네디의 암살을 막아내면 세상이 더 좋아질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희망으로 과거에서의 삶을 시작합니다. 만약 일이 잘 못될땐 2011년으로 되돌아 갔다가 다시 돌아오면 리셋되기에 부담없다 하더라도 케네디 암살을 저지하려면 그 곳에서 4년이나 살아야 했습니다. 2011년의 공간에서는 한번의 시간 여행을 얼마나 오랫동안 했느냐와 상관없이 무조건 2분만이 흐르지만, 과거에서는 시간의 흐름을 고스란히 받는 육체를 가졌기에 나이를 먹게 마련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번의 시도는 거의 불가능 합니다. 기껏해야 두번 정도가 가능하겠지요. 게다가 과거라는 녀석은 정해져있는 운명을 바꾸기 싫은듯, 강력하게 - 생명의 위협을 느낄 정도로 심하게 저항합니다.
초반에 앨과의 실랑이라거나 짧은 두번의 여행에서는 무척 스릴있게 사건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세번째 본격 여행편에서는 다소 지루하게 시간이 흘러가지요. 늘어지는 기분이랄까. 평화롭습니다. 밝습니다. 심지어 제이크는 학교의 기간제 선생님으로 근무하면서 연극지도를 해 성공리에 공연을 마치질 않나, 예쁜 사서 선생님과 사랑을 하게 되질 않나... 무척 사랑이 넘치는 일상을 보냅니다. 지나치게 순박하고 아름답지 않은가라는 생각을 하는 순간 문득 위화감을 느꼈습니다. 스티븐 킹의 소설은 어딘가 갇힌 기분, 어둡거나 안개속을 헤매는 기분이 들게 했는데 이 소설은 왜 밝은 걸까? 하지만, 이내 깨달았습니다. 그는 역시 갇혀있었던 것입니다. 시간에, 그리고 정해진 운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