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4-1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4
로버트 해리스 지음, 박아람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처음부터 결말을 알고 읽는 책 만큼 지루하거나 허무한 소설은 없을 겁니다. 그러므로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읽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이 책은 저를 사로잡았고 두근거림에 현기증을 일으켰습니다.

폼페이 멸망 불과 4일간의 기록이지만 그 시간이 결코 짧았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며칠후면 끝나버릴 운명이라는 것을 저는 알지만, 소설속의 그들은 몰랐기 때문에 정치적, 경제적인 탐욕을 부리고 있었습니다. 그런 그들을 보면서 한심하다는 생각을 했지요. 며칠 남지 않은 그 생.. 좀 더 충실하게 보낼 것이지... 그러나,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내가 그들의 잔인한 운명을 알고 있기 때문이었겠지요. 그렇다면, 나 역시 한치 앞도 모르면서 인생을 허비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소설 <폼페이>에 등장하는 인물은 무척 다양합니다.

신념과 정직을 신조로 삼는 수도기사 아틸리우스, 노예 출신이었으나 부정한 수단으로 졸부가 되어 잔인하고 고집스러운 권력자가 된 암플리아투스, 그의 딸이지만 정의로운 여전사 타입의 코렐리아, 암플리아투스의 주인이었으나 결국 돈에 굴복되어 꼭도각시 노릇을 하는 포피디우스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최후의 날에 죽지 않았더라도 지금은 이 세상에 없을 - 당연하게도 - 그들이지만 아틸리우스와 코렐리아만은 살아남아 행복하게 잘 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마지막에 그들은 정말 어떻게 되었을까요?

작가는 등장인물들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움직입니다. 그렇기에 책을 읽고 있는 저는 마치 인물들이 실존했던 것처럼 느끼고, 안타까워하며, 때로는 화를 냈습니다. 인물 묘사 뿐만 아니라 화산이 진행되어가는 과정을 전조부터 최후까지, 마치 현장에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그려내는데, 영화 <단테스 피크>나 <볼케이노>와는 다른 긴장감과 스릴을 느낄 수 있었고 이내 공포감까지 느꼈습니다. 휴화산지대인 제주에 살고 있어서 그랬을까요?

폼페이는 수도시설이라거나 체육관, 목욕탕, 빵집, 관공서, 광장 등등 편의시설을 잘 갖춘 무척 세련된 도시였지만 아무리 문명이 발달했다하더라도 자연의 힘은 이겨낼 수 없었고, 결국 회색빛 화산재에 갇혀 1600여년간 지하에 잠들어 있었습니다. 그로부터 2천여년이 지난 지금이라면 그들과 같은 운명을 피할 수 있을까요? 폼페이에 대해 알게 된 딸아이가 겁을 집어먹었기에 지금은 지질조사 등으로 미리 잘 알수 있으므로 괜찮다고 말했지만 실은 별로 그렇지 않다는 걸 압니다. 현대는 화산폭발과는 또 다른 인간으로 인한 재해도 있지 않나요.

인재와 자연재해.. 과연 어느쪽이 우리를 더 괴롭게 할까요

 

<사족>

폴란스키 감독 올랜도 볼룸, 스칼렛 요한슨 주연의 영화로 제작된다고 표지에 나와있지만, 영화는 없던일로 되었고..

이번에 개봉한 폼페이:최후의 날 과는 다른 내용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