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거리에서 1
오쿠다 히데오 지음, 최고은 옮김 / 민음사 / 2014년 2월
평점 :
절판


오쿠다 히데오의 책이 맞나 몇번이고 저자를 다시 확인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오쿠다 히데오의 책이라는 것은 사회파 소설이긴 하지만 썩소일때도 있고, 파안대소 일때도 있지만, 어쨌거나 웃음 코드가 곳곳에 놓여있어서 적어도 소설을 읽을 때만이라도 웃었지만 책을 덮은 후에는 생각할 여지를 길게 남기는 그런 책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책은 무척 진지하더군요. 손톱만큼도 저를 웃게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흡인력은 최고라 이 책을 읽으며 계속 생각하게 하더군요. 심지어 읽을 때의 기분과 읽고 난 다음의 느낌이 서로 다를 정도였습니다.

주제는 슬프지만 흔한 것이었습니다. 세상 어디에나 있는 10대들의 왕따. 집단 따돌림 혹은 괴롭힘이었으니까요. 주제도 흔하고, 흔하게 벌어지는 일들. 그렇다고 이런 흔한 소재를 가지고 나왔다며 짜증을 낼 만큼 가벼운 주제는 아니겠지요. 게다가 자칫하면 추리물처럼 되어버릴 수도 있는 소재를 등장인물을 통해 잘 살려냈고, 다각도에서 이 사건을 조명하고 있었습니다.

몸집도 작은데다가 부잣집 아들인 나구라 유이치가 체육관 인근에서 머리가 깨져 죽은 채 발견됩니다. 사고사 혹은 자살일 것이라고 생각했었으나, 아이의 등에는 꼬집힌듯한 내출혈이 - 그것도 며칠에 걸쳐 당한 듯한 - 발견되면서 집단 따돌림, 학교 폭력에 의한 살인일지도 모른다는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나구라와 함께 다니던 동급생 4명이 체포됩니다. 경찰, 검찰, 매스컴, 나구라의 유가족, 체포된 4명과 그의 부모, 그리고 학교... 모두다 다른 입장입니다. 당연하지요.

사건의 전말은 결국 독자에게는 알려주지만,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사람들에게는 완전히 해결해 주지는 않았습니다. 그렇기에 책을 덮고도 각자의 입장에 서서 생각을 진하게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모두가 사이좋게 지내라는 선생님의 말씀이 말도 안된다는 건 선생님도 알 겁니다. 다만, 그렇게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을테지요. 어떻게 모두와 잘 지낼 수 있을까요. 어른도 불가한 일을 각각의 개성이 넘쳐나는 중학교 2학년이 말이지요.

나구라의 죽음은 <솔로몬의 위증>에서 처럼 죽은 아이의 의도적인 연출도, <아멜리아는 자살하지 않았다>에서 처럼 오해로 인한 사고도 아니었습니다.

악독하다기 보다는 딱 중학생 수준의 악의, 그리고 게임과 같은 괴롭히기 였지요. 게다가 이런 생각을 하다니 나도 참 나쁘다고는 생각하지만, 죽은 아이의 성격은 마음에 안듭니다. 뭐 저런애가 다있지... 하지만, 그것이 괴롭혀도 된다는 뜻은 절대로 아닙니다. 세상엔 저런 타입고 있구나, 참 얄밉네.. 하는 수준에서 멈춰야 한다는 생각을 할 수 없는 것은 사춘기 특유의 정신세계 때문일겁니다.

어른이 보기에 이상한 아이들이라고 하더라도 그들 나름대로의 세계에서는 그들의 룰이 있기 때문에 모난 돌은 정을 맞게 되어있지요. 나구라는 모난 돌이었습니다. 하지만 정을 친 아이들도 모난 돌의 죽음이라는 결말을 맞게 되자 자신들도 가해자라는 인식이 있어서 단 한번이라도 그를 괴롭혔던 아이들은 모두 죄책감에 시달리게 된 것입니다. 그것이 침묵을 만들어 낸 것이지요.

나구라라는 아이의 성격은 분명 비호감입니다. 거들먹거리고 젠체하지만 폭력이나 괴롭힘에도 쉽게 굴합니다. 테니스 실력은 없는 주제에 비싼 라켓이나 들고 다니며 친구를 돈으로 사귀려다가 그들의 셔틀이 되고 만 그런 성격이니까요. 책을 읽는 도중엔 '아 너무 싫다 저런애.'라고 생각했지만, 다음날 곰곰히 생각해보니 이녀석은 외로웠던 겁니다. 그렇지만 내성적이었던 탓에 사람과 어울리고 섞이는 법을 잘 몰랐던 것지요. 그러니 괴롭힘을 당하더라도 혼자있는 것보다는 친구와 함께 있는 걸 원했던 겁니다. 상상속의 형과 아우를 만들어 내어 그들과 함꼐 있다고 생각해야만 했고, 추락사 한 것도 사실은 외로웠기 때문이었습니다.

자살, 살해, 사고 혹은 미필적 고의.....

자식을 둔 부모로서 이런 책을 읽고 나면 무척 심란합니다. 그렇지만 읽기를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피해자가 혹은 가해자가 되지 않을 거라고 감히 장담할 수 있을까요? 다만 그렇지 않기를 바랄뿐이지요.

이 책에 나오는 모든 등장인물들은 저를 조금씩 분해해서 늘어 놓은 것과 같을 겁니다. 나는 그들 중 누구라도 될 수 있으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