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일
위화 지음, 문현선 옮김 / 푸른숲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척 특이한 세계가 있었습니다.

죽었지만, 죽지 않은 그런 세계. 죽기전까지는 영원을 갈망하는 사람들이지만, 어쩐지 죽어서야 정말 영원한 생명을 얻은 듯한 그런 기분입니다.

주인공인 양페이의 삶은 기찻길에서 태어난 아이로부터 시작합니다. 기차여행중 작은 실수로 기차 선로로 떨어져버리고, 아이를 주운 아주 젊은 청년은 이아이의 아버지가 되어 함께 살아갑니다. 인간의 삶이라는 것이 그렇듯이 이 양페이에게도 여러가지 우여곡절이 생기지요. 그렇지만, 아이를 키운 아버지가 선한 사람이었기 때문일까요. 양페이도 무척 선합니다. 그렇지만, 선하다는 것이 모든 것을 덤덤하게 만들어 줄수는 없었습니다. <허삼관 매혈기>의 주인공은 강한척 하지만 속이 부드러운 남자였다면, <제 7일>의 주인공은 약하지만 강한 남자였습니다. <허삼관 매혈기>가 내 이전 세대의 이야기라면, <제 7일>은 내 세대의 이야기인지라 더욱 서글퍼졌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죽었지만, 그의 여정은 계속됩니다. 그는 죽기전에도 자신을 사랑으로 키워준 - 그러나 불치의 병에 걸려 집을 떠난 아버지를 찾아다녔었는데, 죽어서도 아버지를 찾아다닙니다. 마치 그것이 이승에서의 마지막 목표인 것 처럼요. 그리고서 그의 행적에 따라 부수적인, 그러니까 배경처럼 느껴졌던 이야기들 속에서도 또 망자들이 나타나 그의 곁에 잠시 머뭅니다.

뜻밖의 죽음. 그들은 죽어서도 빈부의 격차를 느낄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죽어서도 사랑했으며, 죽어서도 그리워했습니다.

 

혼돈의 땅에서 태초에 빛이 있으라는 말에 빛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모든것을 다 이루고 제 7일 하나님께서는 휴식하셨지요. <제 7일>에서의 인물들도 혼돈의 땅에서 존재하다가 죽음의 첫날,  제 1일째 혼돈의 땅에서 벗어나 첫번째 발걸음을 내딛습니다. 그리고 이야기는 하루 하루 흘러가는 것이지요.

 

엉엉 울정도로 슬픈 이야기는 아닙니다. 슬프면서도 아름다우면서도 약간은 기쁘면서도... 그런 묘한 기분이 소설을 읽는 내내 제 주변을 떠돌았습니다. 차라리 엉엉 울면 카타르시스라도 느낄 텐데, 그렇지 않은 묘한 기분. 내가 어느날 갑자기 죽는다면, 나도 그들 처럼 내가 사랑하는 사람을 찾아 헤매일까요? 아마도 그럴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