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데렐라가 내 딸을 잡아먹었다 - ‘여성스러운 소녀’ 문화의 최전선에서 날아온 긴급보고서
페기 오렌스타인 지음, 김현정 옮김 / 에쎄 / 2013년 8월
평점 :
읽을때는 쉴새없이 읽었지만, 막상 리뷰를 하려니 무척 어렵습니다.
어떤 기분이냐하면, 요사이 새로 알게 된 지적인 친구가, 자신의 의견을 열심히 저에게 일대일로 이야기 해주고, 전 고개를 끄덕이며 열심히 동의하며 들었지만, 막상 집에 오니 머리가 혼란스러워서 어떤 것이 옳은 것인지 당췌 알 수 없게 된 것 같은 그런 기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딸을 키우는 엄마로서 이 책의 내용이 한 편으로는 이해가 되면서, 한편으로는 괜찮지 않은 건가하는 의심이 들기도 하고.... 그러나 이 책의 내용에는 70퍼센트 이상 동의합니다. 그러니까 말이죠. 이 책에는 어떤 이야기가 적혀있길래 이렇게 처음부터 갈등하는고하니...
아름다움이나 섹시함 같은것.. 공주님같은 것을 너무나 동경한 나머지 아이들이 잘 못된 방향으로 커 나갈수 있음을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이 책의 작가는 여성문제를 주제로 글을 써온 저널 리스트이며, 딸아이의 엄마이기도 하지요, 딸을 키우면서, 그리고 자신의 주변사람을 관찰하고 생각한것에 멈추지 않고 완구박람회, 장난감 상점, 마일리 사이러스의 콘서트장, 유아를 대상으로 한 미인대회를 직접 방문해서 취재하며 자신의 생각, 마케터, 심리학자, 신경과학자, 아이들의 부모, 아이들과 인터뷰한 내용을 정리해서 이야기합니다.
그러니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할 수 밖에요.
저도 귀엽고 예쁜 아이들을 보면 너무나 사랑스럽다고 여겨지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아이라는 기준으로 보아서 그런 것이지, 그 아이들이 공주흉내를 낸다거나, 어른스러운 화장, 표정, 몸짓을 하고 있기때문에 사랑스러운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실제로 - 우리나라는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 미국에서의 이야기를 듣고보니 이것참 큰일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쁘면 다되는 세상인 것 처럼 세상을 바라보게 하는 그런 것은 무척 잘못 된 일이지요. 우리나라에서도 초등학생들이 색조화장품을 사러 다녀서, 일부 매장에는 초등학생에게는 색조화장품을 판매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붙어있을 정도입니다. 네이버 지식인에는 초등학교 5학년이 아이라인 그리는 법을 질문하고 있고요. 예쁜게 나쁜건가? 그렇지 않습니다. 이 책에서도 예쁜게 나쁘다고 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어린이에게까지 뻗쳐있는 각종 상술, 성상품화에 대해서 경고를 하고 있습니다. 나아가서 딸아이의 의식문제까지요.
어렵습니다. 책을 읽으면서도 갈팡질팡. 딸이 있어서 더 어려운 것 같습니다.
딸을 키우는 부모님들, 이 책을 한 번 읽어보시면 어떨까요? 정말로 신데렐라가 내 딸을 잡아 먹은 것인지. 아니면 딸을 잡아먹은 것은 '나'인지. 생각해 볼 수 있게 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