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읽는 책이 우리 머리를 주먹으로 한 대 쳐서 우리를 잠에서 깨우지 않는다면, 도대체 왜 우리가 그 책을 읽는거지? 책이란 무릇, 우리 안에 있는 꽁꽁 얼어버린 바다를 깨뜨려버리는 도끼가 아니면 안되는거야.
- 1904년 1월, 카프카, [저자의 말],<변신>중에서 -
바로 위의 글은 카프카 <변신>에서의 저자의 말이자, 박웅현의 인문한 강독회 <책은 도끼다>에서의 저자의 말, 제일 첫 구절이기도 합니다.
책을 읽기 시작하자마자, 부드러운 문체임에도 불구하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다름아닌 '다독 콤플렉스'에 관한 이야기였는데요. 올해 몇 권 읽었느냐, 자랑하는 책 읽기에서 벗어나라는 문구에 좀 뜨끔했던 것이지요. 많이 읽고 깊이 느끼면 괜찮겠지만, 내 스스로 솔직히 생각해보면, 그냥 난, 이책도 알고 저책도 안다고 말하고 싶었던 것은 아닌가 합니다. 요번의 <네 이웃의 지식을 탐하라>라는 책을 읽고 리뷰까지 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억에서 사라진 것을 볼때, 다독콤플렉스를 버리라는 말이 그냥 예사로 들리지 않았습니다.
이 책은 한문장, 한문장을 이해 할 수 있는 힘, 자연이나 어떤 현상을 보아도 그대로 넘기지 않고 꼭꼭 씹어먹을 수 있는 힘을 주는 것 같습니다. 그러고보면, 제가 싫어하는 분류의 책들이 있습니다. 물론 어렵고, 머리 아픈, 그러니까 현학적인 책도 별로 좋아하지는 않지만, 그것보다도 지나친 미사여구라고 생각되는 그런 문장들을 나열해 놓은 책을 보면 어쩐지 허세를 떠는 것 같아서 싫었습니다.
그러니까, 옛날의 연애편지를 들여다보는 그런 기분이 드는 글들 있잖습니까. 이를테면, 이런거죠.
"하늘을 올려다보면 그 눈부신 푸른 빛깔에 어쩐지 눈물이 날것만 같은데 몇조각 떠있는 하얀 구름이 내 눈물을 멈추게하는 그런 가을입니다. 밤이 되면 풀벌레도 내 마음을 대신하여 구슬프게 울겠지요. 벌레는 아는가 봅니다. 당신을 향한 나의 그리움을."
위의 글은 적절한 예가 떠오르지 않아 제가 그냥 끄적여 본 것인데요. 이런 문장을 무척 싫어해요. 그래서, 아름다운 글귀로 가득차 있다는 시집도 읽지 않고- 고3때 담임선생님이 시인이어서 시가 싫어졌을지도 모릅니다. - 아름다움이 차있다는 문학작품도 잘 읽지 않았을겁니다.
하지만, <책은 도끼다>라는 책을 읽다보니 나는 참, 책을 그냥 핥아먹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음식을 먹으면서는 조금만 이상해도 인상을 찌푸리고, 맛있는 것을 먹을땐 그 모양새, 향, 맛을 음미하며 먹으면서, 책은 그냥 모양새를 보고 쓱쓱 핥아 먹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요.
아마도 이 책을 통해 조금 달라질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갑자기 문학작품만을 읽는다거나, 지금까지의 독서패턴을 확 바꾼다거나 하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어떤 작품을 읽던간에 책을 대하는 자세가 조금 달라지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