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면 죽는다
마르셀라 이아쿱 지음, 홍은주 옮김 / 세계사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 사랑하면 죽는다 >는 심리소설입니다. 하지만, 읽다보면, 이거 분명히 소설이랬지? ...아닌가? 소설 맞나? 것참 특이한 형식의 소설이네하며 표지를 봤다가 내용을 봤다가, 다시 저자 이름을 확인했다가, 내용을 읽다가 왔다갔다하게 만드는 특이한 소설이었습니다.

 

이 책의 처음엔 다른 책들 대부분이 그렇듯이 머리말이 있습니다. 제 1판 머리말. 30년동안 프랑스 정신의학계의 주역이었던 오빠가 죽기전에 남긴 비밀스러운 원고를 동생이 스톡출판사를 통해 출판했다는 이야기가 나오지요. 그리고 제2판 머리말. 프랑스에서 <사랑하면 죽는다>가 출판되자마자 날개돋힌듯이 판매되어, 재판을 했다.. 거기에 머리말을 다시 남겼습니다. 그리고 책이 시작됩니다. 장퀵 자메 교수의 저서들 소개도 있구요. 대부분이 이상성욕이나 동성애, 정신의 파괴등에 관한 책입니다. 그쪽 방면의 대가인가봅니다.

 

다소 긴 서문을 읽고 나면, 내원했던 상담자들의 실제 이야기가 나오고 그 환자에 대한 임상분석이 나옵니다. 마치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같은 심리학 임상 사례집처럼요. 그리고선 그 환자가 후에 어떻게 되었는지 에필로그에서 이야기하며, 교수로서의 자신의 견해와 논리를 들어 명확하게 짚어줍니다.

 

하지만, 읽다보면 그것 참.. 묘합니다. 소설이랬지..? 아닌거 같은데?? ... 어느 부분이 소설인거지? 임상실례가 소설인가..? 하긴, 환자들이 좀 그렇긴 하다. 이거 뭐 진짜 이런 사람들이 있단말이야? 찌질하잖아. 앗. 교수가 그렇게 생각하면 안된댔지..? ... 문화차이인가? 라고 궁시렁 거리면서, 그래도 책이 얇으니까 다 봐야지... 하는 마음으로 읽게 됩니다.

 

진짜 가관입니다.

처음엔 직장 부하를 사랑한 상관이 파멸로 달려가더니, 갈수록 정도가 심해지지요. 어떤 환자는 스무살이나 연상인 여자를 사랑해서 스스로 불구가 되고, 어떤 환자는 애인 부부에게 농락당하다가 동성애자가 되어버린다거나..하는 이야기들요. 정말 스스로는 치명적인 사랑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책을 통해 그 광경을 보는 저에게 있어서는...아니, 뭐.. 저럴수도 있나? 저렇게 사리분간이 안 될 정도로 사람을 사랑할 수 있나? 그리고, 그런 사랑 앞에서 저런 사람을 농락하는 저 인간들은 뭐지? 하고 생각하다가 내가 너무 메말라서 그런가? 실제 사례라잖아. 그럼 실제로도 저럴 수 있다는 거로군... 하며 건어물녀인 저를 돌아보기도 하고 표지를 돌아보기도 하고.. 책을 돌아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 책에는 반전이라고 생각한다면 반전이 있지요.

이상성욕분야의 권위자였던 이 교수 자신도 사실은 이상성욕자였던 것이지요. 그가 표현하는 대로라면 이상성욕자는 마치 흡혈귀처럼 희생자를 다시 가해자로 만드는 힘이있고, 헤어진 후에도 그의 지배에서 떠날 수 없다고 하는데, 그 역시 그 흡혈귀였던 것입니다. 가해자였는지, 피해자였는지 애매하지만요.

 

또 하나. 다 읽고 나서 잘 생각해봐야합니다.

소설은 분명히 소설이고, 헐헐헐.. 저럴수도 있나? 하면서 읽어야하는 소설입니다.

 

그리고 이 책의 저자는 장 퀵 자메 교수가 아닙니다. 그렇다고 그 책을 발간하게 한 돌로레스 자메도 아닙니다.

마르셀라 이야쿱입니다.

 

이거야말로 이 책의 대단한 점이지요. 무슨 소리냐구요..? 읽어보시면 알게 됩니다.

저는, 이 책은 두꺼운 표지를 벗겨내면 또 다른 책이 있는 것 같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눈 크게 뜨고 잘 읽으셔야 합니다. 네티즌 리뷰를 읽어보니,

이 책이 소설이라는 것을 구별 못한 사람들도 꽤 보이니까요. 이것은 소설입니다.

그러나, 눈... 크게 뜨고 보셔도 .. 착각 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