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혜영 옮김 / 북폴리오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미나토 가나에의 <고백> 이후 읽은 책들은 실망스러워서 이번의 <모성>도 심심할때 흉보면서 읽어야겠다라는 마음가짐으로 마련해두었다가 오늘 새벽 잠이 안오기에 읽다가 자야겠거니하며 펼쳐들었습니다. 그런데, 뜻밖에도 이 책은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생각했습니다. 아마도 이 책은 엄마와 자신과의 혹은 딸과의 사연이 있는 사람일 수록 생각하는 바가 많겠구나하는 그런 생각 말이죠. 좋은 생각이건, 그 반대이건.

 

사랑받으며 칭찬받으며 자란 '엄마'는 조금은 어두워보이지만 따뜻한 가정을 원하고 있는 '아빠'와 결혼합니다. 그리고 '딸'을 낳지요. '엄마'의 '어머니'는 무척 다정하신 분입니다. 결혼 후에도 '엄마'가 부르면 흔쾌히 달려와주셨거든요. 그러던 어느 날, '아빠'가 야근 때문에 늦게 들어온 어느 날이었습다. 10월의 늦은 태풍. 그것이 마을을 덮쳐 강이 범람했고, 산사태가 일어나 집이 기웁니다. 어두컴컴한 집을 밝히기 위해 '엄마'는 초를 켰고, 그 희미한 불빛아래 발견 한 것은 장롱에 깔린 '어머니'와 '딸'이었습니다. 구할 있는 사람은 단 한명 뿐. 설상가상으로 불이 나서 시간이 없습니다. 그때 '엄마'는 '어머니'를 구하고 싶었지만, '어머니'의 강요로 딸을 구하고, '어머니'는 돌아가십니다. 그 때 부터였습니다. 모녀의 사이가 뒤틀어진것은.

 

그 뒤에 이어지는 엄마의 모진 시집살이. 딸은 엄마를 돕고 싶었고, 그리고 도왔지만, 어째선지 엄마는 자신을 예뻐해주지 않습니다. 초등학생의 나이에도, 열심히 엄마를 도왔건만 엄마의 마음속에는 딸 때문에 자신을 사랑해주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생각이 들어서였는지, 딸을 예뻐 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결국에 딸은 자살기도를 합니다.

 

 

이 책은 언뜻 보면 딸을 사랑하지 못하는 엄마와 엄마의 사랑을 갈구하는 딸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사실은 엄마의 사랑과 포근함을 원하는 딸이 두명 있었을 뿐입니다. 엄마로서는 미성숙한 정신세계였을지도 모르는 딸의 엄마는 너무나 힘겨운 상황에서 자신을 지켜주고 칭찬해줄 어머니가 필요했었을 겁니다.

게다가 이 소설안에는 죄책감이라는 것이 따라다닙니다.

어머니를 구하지 못했던 - 게다가 자신이 켜 놓은 촛불때문에 일어난 화재로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생각에 자신을 향해야만 하는 죄책감이 딸에게로 쏟아진 것입니다.

 

그리고, 두명의 죄책감이 더 있었습니다.

 

 

정말로 여자는 태어나면서 모성본능을 가지고 있는 걸까요? 뱃속에 있을때는 태교도 하고, 아가야~아가야~하며 말을 걸어놓고선 낳은 후엔 자신의 욕심대로 아이를 좌지우지하거나, 학대인줄 모르고 저지르는 학대를 하는 엄마들도 있고, 아니면, 처음에는 별 생각 없다가 아이를 키우면서 사랑이 샘솟아 그야말로 모성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아니면, 끝까지 그런 것을 찾지 못하는 사람도 있지요.

 

책을 읽고서 나와 엄마와 딸을 생각했습니다.

나는, 어떤 엄마일까요. 그리고 어떤 딸일까요.. 책 속에 나오는 어머니, 엄마, 딸 . 그중에 과연 난 누구였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