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의 추억 - 대한민국 과학수사의 진실과 오해
최상규 지음 / 청어람M&B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드 CSI의 영향 때문인지.. 과학수사대를 멋지게만 보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예. 멋지지요. 저도 아주 오래전부터 문국진 교수의 팬이었으니까요. 작년에 포스팅 한 글 중에 문국진 교수의 책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실제로 그들이 하는 일에 참여 해 보지 않더라도, 그들의 글, 책을 읽으면 고충이 얼마나 심할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일선에서 뛰는 수사관들과 과학수사팀들과의 손발이 잘 맞지 않는다거나, 서로 사이가 좋지 않다거나 하는 일이 많은데요. <범죄의 추억>을 읽다보면 그렇지 않구나.. 하는 것을 느낍니다. 현장에서 열심히 뛰어서 증거자료를 모아 오는 수사관들에 대한  고마움이 자주 엿보이더라구요.

 

이 책에서는 과학수사란 무엇이며, 국과수에서 저자가 활동했던 일들과 더불어 과학수사 실화이야기가 나옵니다. 과학수사 실화이야기가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사건들도 있고, 처음 들어보는 이야기들도 있었는데, 하나같이 끔찍한 사건들이어서, 읽다보면 몸서리쳐지기도 합니다.

 

하마터면 미궁으로 빠질 뻔 한 사건들을 몇천 CC나 되는 루미놀 시약을 뿌려대며 혈흔을 찾고, 혈액감정과 DNA감식을 통해서 범인을 찾아낼때면 한시름 놓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미궁에 빠진 사건들도 많습니다.

아시다시피 화성 부녀자 연쇄 살인사건이 그것인데요. 9차 10차의 사건에서 범인의 정액을 발견, DNA정보를 보관하고 있다니, 꼭 범인이 잡혔으면 좋겠어요.

 

갑자기 문득, 왜 요새는 <경찰청 사람들>같은 방송은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냥 한번 보며 낄낄 으하하 거리는 방송들은 많은데요. 물론 그런 방송들이 웃음을 주면서 활기를 불어 넣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가끔은 경찰청사람들이 보고 싶기도 하네요. 그.. 형사님들의 딱딱한 방송 부적응 적인 말투도 그립구요.

 

그런 사건 재연 드라마가 혹시나 카피캣을 만들어 낸다는 우려때문이라면, 오히려 인터넷을 주의 시키는 편이 나을겁니다. 조사하면 다 나오거든요. ㅎㅎㅎ

 

의뢰인 K는 왜 폐지가 된건지..

좀 슬픕니다.

재미있게 보고 있었는데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