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치밀하고 친밀한 적에 대하여 - 나를 잃어버리게 하는 가스라이팅의 모든 것
신고은 지음 / 샘터사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스라이팅(Gaslighting)이란 상황이나 상대의 심리를 조작해서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우위에 서는 행위를 말합니다. 최근 들어서 상당히 많이 사용되는 말이지만 때로는 잘 못 사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예전에는 '저 사람이 나를 호구로 보는 거 같아요'라거나 '저 사람이 나를 너무 만만하게 생각해요'라고 표현할 것들까지 이런 범주에 넣곤 합니다.



<이토록 치밀하고 친밀한 적에 대하여>를 읽다 보니 대략적인 그림이 그려집니다. 그리고 깨닫습니다. 내가 오랫동안 당해 왔던 것이 가스라이팅이었다는 사실을요. 그동안 멘탈 뱀파이어에게 당한 걸까 아니면 지나친 이기주의와 소유욕에 당한 걸까 등등 심리 서적을 읽을 때마다 내가 무엇을 당했던 건지 몰라서 짐작만 해왔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확실히 깨닫습니다. 저는 가스라이티였던 겁니다. 지금이야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있음에도 문득 '내가 과연?'이라는 의문을 품을 때마다 소리 없이 과거의 제가 슬며시 고개를 듭니다. 가스라이팅을 당하는 사람이 그 순간을 벗어나는 것만으로도 비로소 해방될 수도 있지만 계속 주입된 개념은 언제고 다시 눈을 뜨고 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는 상당히 위험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지나치게 의존적이라거나 스스로의 판단을 믿지 못해서 자신을 파멸의 길로 이끌 수도 있고 가족을 함께 그 길로 끌어들이기도 합니다. 제3자가 보기에는 왜 저러고 사는지, 어째서 저기에서 헤어나지 못하는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자신을 믿지 못하고 의심을 떨치기 어렵기에 여전히 그 자리에 머무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비상식적인 상황이나 지나치게 공격적인 언사나 행동에도 상대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이 들기보다는 내가 잘못하고 있는 게 아닐까, 혹은 정말로 내 잘못이라고 느끼는 순간 이미 가스라이팅 당하고 있다는 걸 인지해야 합니다. 가스라이팅은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반드시 당하는 자가 있어야 성립하는 일대일 함수 같은 것입니다.



<이토록 치밀하고 친밀한 적에 대하여>는 가스라이팅이란 무엇인가 꼼꼼하게 짚어주고 다양한 사례를 들어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도록 이해시켜줍니다. 영화나 책을 통해서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와 같은 장르를 좋아하는 저는 매우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혹자는 고구마라고 말하는 상황들이 왜 태어나게 되었는지도 깨달았습니다.



어쩌면 극작가나 소설가는 가스라이팅이 아닌 다른 곳에 초점을 두고 있었을는지도 모릅니다. 일종의 사이코패스라거나 성차별적인 이야기, 그렇지 않으면 지배적 관계를 통한 재물 착취 뭐 그런 거요. 그렇지만 심리학자의 눈으로 보면 그것들은 심리적 지배 그 자체였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책을 읽으면서 과거에 보았던, 읽었던 것들을 다시금 떠올리며 그런 장면들이 바로 심리적 지배였구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자칫 어렵게만 여겨질 수도 있는 심리학 이야기를 재미있게 잘 풀어 서술해 놓았으므로 천천히 시간을 들여가며 소중하게 담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잔혹한 가스라이팅은 어디든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흔히 심리적 지배는 가까운 지인으로부터 발생한다고 여기곤 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외부인, 심지어는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으로부터 받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인터넷이 발달되어 활발히 SNS가 운용되고 있는 요즘은 더욱 그러합니다. 누군가에게 독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말 그대로 "뭔 소리야?" 라거나 "그렇게 생각하든지!" 하고 넘길 수 있는 마인드를 갖추고 있다면 상관없는 이야기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모르는 이에게 상처를 받고 그 공격이 서로 다른 혹은 서로 다른 것 같은 사람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결국은 '혹시 사실 나는 그런 사람인 거 아닐까?'하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이렇게 자신을 의심하는 단계에 이르르면 바로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다고 판단하셔도 됩니다.



<이토록 치밀하고 친밀한 적에 대하여>를 읽으면서 세상에는 상상했던 것보다도 많은 가스라이터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누군가를 짓밟으면서 심리적 우위에 서고 싶어 하는 행위가 혹시 본능은 아닐까 의심될 정도였으니까요. 그래서 두려웠습니다. 세상 밖으로 나가지 않는 편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과거의 제가 다시 튀어나올까 봐 무서웠습니다.



그렇지만 나 역시 가스라이터가 아닐까 하는 생각에 두려움을 느꼈습니다. 세상에 악의 없는 가스라이터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악의는 없지만 피해를 입은 가스라이티는 존재한다는 말씀이 콕 박힙니다. 과연 나는 이 불쾌하고 불편한 시스템에서 자유로운 것일까요?



저자는 나가는 길에서 '끊어야 할 관계를 끊지 못하면 함께할 수 있는 소중한 관계를 놓칩니다. 적절한 단절은 오히려 더 따뜻한 관계를 새롭게 만들어내지요. 그런 의미에서 끊어내는 것은 오히려 함께하는 가장 빠른 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라고 말합니다.



때로는 아니 실제로는 상당히 심리적 지배 우위에 있는 자와의 관계를 끊어내는 것이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그렇죠. 하지만 당당하게 자신으로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반드시 끊어내길 권합니다. 억지로 이어나가는 관계는 자신과 나아가서 사회를 좀먹을 뿐이니까요.



혹시 자신이 가스라이팅을 당하는 것이 아닐까 의심된다면, 누군가를 지배하는 심리란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이토록 치밀하고 친밀한 적에 대하여>를 만나보시길 권합니다. 두께에 비해서 상당히 많은 양을 담고 있으면서도 친절하게 안내해 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