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때로 증강현실을 사용하는 놀이 기구나 기계들을 만나고는 하지만 3D 멀미가 있는 터라 체험하기가 두렵습니다. 하지만 만일 이것이 대중의 삶 속에 스며들어와서 누구나 일상에서 흔히 만나게 된다면 마치 지금 착용하고 있는 안경과 같이 자연스럽게 여겨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처음 도수를 맞추었을 때에는 약간의 위화감이 있지만 착용한 채로 사나흘을 보내고 나면 거리감도 익숙해져서 아주 자연스러워지듯 말이죠. 그런데 만일 웨어러블이 아닌 생체 장착형이라면 어떨까요? 칩을 이식했다거나 아니면 나노로봇 같은 것이 들어가서 세팅이 되는 방식으로 말이죠.
새로운 현실과 마주하고 스마트폰으로 검색을 해야만 알 수 있었던 것들을 그냥 자동으로 알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겠죠. 기업에서는 광고를 직접 쏟아붓고 거리는 더 이상 회색빛이 아닌 총천연색으로 빛날 것입니다. <세상 끝 아파트에서 유령을 만나는 법> 표지 그림처럼요.
하지만 확장현실이 꺼졌을 때의 적막감은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고요할 겁니다. 만일 지금이 증강현실 상황이고 스위치를 오프 시켰더니 책상 하나와 의자 하나가 전부인 방에 앉아있다고 가정해 보세요. 얼마나 황량하겠습니까? 그래서 이 소설 속 사람들은 확장현실이 상용화된 이래 꾸준히 이 프로그램을 사용해왔습니다. 더 이상 칙칙한 삶을 견디기 어려워졌던 탓이죠.
저는 절대 싫습니다. 결국 누가 내 뇌에 접근해서 정보를 준다는 건데, 그 말은 반대로 해킹도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나의 기억을 훔쳐보는 것도 싫고 억지로 무언가를 주입당하기도 싫습니다. 그러면 저는 이 소설의 설정도 싫어했을까요? 그건 아닙니다. 이런 세상을 상상하며 그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머릿속으로 그려보는 것만은 즐겁습니다.
다만, <세상 끝 아파트에서 유령을 만나는 법>의 주인공 요한이가 사는 아파트 단지는 이런 확장현실이 허용되지 않는 공간입니다. 바깥세상보다 조금은 칙칙하지만 그래도 학생답게 살아가던 요한이는 어느 날 갑자기 친구 J를 잃게 됩니다. 술에 취해서 죽어버렸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었기에 수학 과외쌤에게 자신을 도와달라고 부탁합니다.
J의 죽음에 숨겨져있는 비밀을 캐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이 소설은 주인공 요한이와 쌤 둘의 이야기로 진행됩니다. 명석한 두뇌를 가진 쌤은 요한이를 도와주기로 하고 나노로봇을 통해 확장현실의 세계로 안내합니다. 그곳에서 살고 있는 재즈와 함께 셋이서 사건을 파헤치고자 합니다.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베니스힐 아파트는 확장현실을 상용화한 세상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모여사는 곳입니다. 몸에 장착해야 하는 텐서 칩을 거부하고 있기에 외부에서 들어오는 사람들도 정문을 통과하면 바로 칩을 꺼야 합니다. 그렇게 겉보기에는 의견을 통일하고 단단한 결속력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았지만, 사실은 숨겨진 음모와 더불어 은연중에 반목하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