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리는 말투 호감 가는 말투 - 어떤 상황에서든 원하는 것을 얻는 말하기 법칙
리우난 지음, 박나영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로 천 냥 빚을 갚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천 냥 빚은 물론이고 매를 버는 타입도 있습니다.

인신 공격형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싫지만 진짜 대화하기 싫은 타입은 이런 거죠.

"손님 비닐봉지 필요하신가요?"

"그럼 손에 들고 가요?"

의외로 이런 이들이 눈에 많이 띄는데요, 어쩌다 한 번씩 그러는 게 아니라 습관적으로 그렇게 말하고 있다면 말하는 습관, 말투를 고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게 결코 자신에게 득이 되는 일은 아니거든요.

"자기 수저 갖다 줄까?"

"그럼 손으로 퍼먹냐?"

..... 이별 각이잖아요.

일상생활에서의 대인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면서 좀 더 부드럽게, 우회적으로 이야기하는 걸 배울 필요도 있습니다. 물론 논점을 빙빙 돌려가며 피하라는 말은 아니고, 요점은 살리되 상대방의 기분이 나쁘지 않도록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이건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에도 등장하는 것인데요, 대인관계의 원만함의 기본은 언어 습관, 말투, 목소리 등에 있기 때문입니다.

같은 말이라도 성조나 어투에 따라서 다르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러니 신경을 써야겠죠. 어떻게 매번 그러느냐 편하게 이야기하면 안 되느냐라고 하는 사람도 있겠죠. 하지만 습관이 들면 자연스럽게 젠틀해집니다. 글은 쓰고 나서 몇 번 읽어보고 퇴고를 하고 수정을 하거나 다른 이가 편집을 해줄 수도 있지만 말은 내뱉으면 그만입니다. 그러니 올바른 습관이 들도록, 그것이 익숙해지도록 노력을 해야겠죠.

이렇게 말하고 있으니까 저는 언제나 아름답게 이야기하는 사람 같습니다만, 딱히 그렇지도 않습니다. 좋게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되도록 '실례합니다'라거나 '죄송하지만' 뭐 이런 말을 붙이면서 정중한 표현을 쓰려고 하나 가끔은 그냥 막 나갈 때도 있어요.

그러니 정말로 늘 신경을 써야겠죠.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은 저 뿐만이 아닙니다. 많은 이들이 언어 습관에 관해서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 거 같아요. 더욱이 막말하는 사람을 천하의 못된 자로 손가락질을 하는 걸 보면 좋은 언어 습관을 가지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무척 많다는 거겠죠.

그래서 <끌리는 말투 호감 가는 말투>라는 책이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건가 봅니다.

읽다 보면 정말이지 당연한 이야기들이 들어있어요. 이 정도는 기본 아닌가, 이렇게 말해야 하는 게 당연한데 이 책은 뭐 이런 소리를 하고 있지 싶지만, 그 당연한 걸 잘 못할 때가 많다는 게 함정이겠죠.

그래서 이런 책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이럴 때는 이렇게 이야기하는 게 좋다, 가까운 사람에게도 이렇게 하는 것이 좋다.

마치 수신제가 치국평천하 같은 느낌이 들 때도 있습니다. 어쨌거나 좋은 것이 좋은 게 아니겠습니까. 이 책의 앞부분을 긍정적인 마음으로 읽다 보면 중후반부터는 드디어 배우고 익힐 것들이 나옵니다. 알고는 있지만 하지는 못했던 것들. 그중에서 3분 스피치 같은 것은 이후에 언제 써먹게 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걸 잘 익히고 응용하면 아이와 진지한 대화 중 제가 주도권을 잡고 이야기할 때에는 쓸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직장인의 경우 원만한 직장 생활이나 상사와 부하 사이에 끼어 있을 때에도 사용하는 말투(가끔은 좋게 말하려다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겠습니다만은)도 익힐 수 있고, 연봉협상에 사용한다거나 면접 때에 어떻게 말해야 좋은가 하는 것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 책은 말하는 것에 대한 전천후식 가이드를 하고 있는 셈이죠.

평소에 '너는 왜 그렇게 말을 하냐.'라는 말을 듣는 분은 직접 읽어보시면 좋겠고, '쟤는 왜 말을 저렇게 밉게 하냐.'하지만 친분이 두텁다 싶으면 선물을 해주셔도 좋겠습니다.

이 책 초중반까지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당연한 이야기들이 들어있습니다.

그렇지만 그걸 못하니까 문제가 생기는 게 아닐까요.

그런 것들을 염려하는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