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나의 책 - 독립출판의 왕도
김봉철 지음 / 수오서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꿈꾸는 소망이 있지요.

나도 책을 만들고 싶다.

하지만 언제나 그것은 상상만으로 그칠 뿐, 로또 당첨되면 무얼 하겠다고 망상하면서도 로또를 사지 않는 나답게 글 한 조각 쓰지 않고 구상만 하곤 했습니다.



이런 글을 써야지. 에세이를 쓸 거야. 하지만 쓰고 나면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누군가에게 여쭤보면 폐가 되는 건 아닌지 염려하기 전에 일단 글을 쓰고 고민하라고!!!라며 스스로를 나무랍니다.



이 책은 30대 무직이었던 한 사람이 독립출판을 하고 출판사를 통해 책을 내게 된 과정을 적어낸 이야기입니다.

- p.4 일러두기 중에서



그런 저와는 달리 김봉철은 글을 쓰고 책을 만들었습니다. 외향적이고 씩씩한 사람이라서 해 낸 것은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몸도 그다지 건강하지 못하고 소극적인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어디서 그런 용기가 생긴 건지. 그는 글을 쓰고 자비 출판하여 독립 서점을 찾았습니다.



내가 과연 내 힘으로 한 권의 책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나 같은 사람이 만든 걸 과연 정말로 책이라고 불러도 될까? 책은 대학을, 그것도 국문과나 문창과를 전공하고 신춘문예에 당선되거나 문예지 공모전에 등단한 사람들이나 사회의 저명인사들같이 삶에서 어떤 원대한 이상과 목표를 달성해낸 이들이 그들의 고매한 정신을 많은 사람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적어내는 것이 아닐까? (중략) 나는 불안했다.

-p.35



처음에는 정말로 아는 것 하나 없이, 말 그대로 맨땅에 헤딩하듯 밀어붙였습니다. 소심한 그가 짜 내는 용기는 나에게도 필요한 그것이었습니다.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했던 그는 백수로 지내는 자신의 이야기를 블로그 글로 전하다가 <30대 백수 쓰레기의 일기>라는 책으로 엮어 독립 출판을 하고 독립 서점을 찾아다닙니다. 


<작은 나의 책>은 <30대 백수 쓰레기의 일기>로 시작해 <봉철 비전: 독립출판 가이드북>을 거쳐 작가의 말에 의하면 처참하게 망한 책 <마음에도 파쓰를 붙일 수 있었으면 좋겠어>까지 제작하며 겪고 경험했던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작가가 생각했던 제목인 '독립출판의 왕도'는 부제로 붙어있는데요.

정말로 이것이 왕도일까 그렇다면 나같이 심장 약한 사람은 못할지도 몰라...라는 생각이 들어 시무룩해지기도 하지만, 없는 용기를 조금 짜내면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희망도 살짝 듭니다. 


저자는 나 같은 사람이 이렇게 글을 쓰고 책을 내었으니 만약 쓰고 싶은 이야기가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자신을 낮추며 이야기했지만, 그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알기에 그의 용기와 책에 대한 사랑에 감동을 받습니다. 



그의 사랑에 마음이 찡해지다가도 책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을 주의 깊게 보며 학습합니다. 

글을 쓰고, 편집하고 제작하여 유통할 뿐만 아니라 홍보하는 과정까지. 만일 내가 책을 만든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잠시 상상해보기도 합니다. 

어쩌면 미련하게 또 상상으로 그칠 뿐일지도 모르겠지만, 이미 뇌내 망상으로는 출판사에 투고까지 마친 상태입니다. 


제 꿈도 이루어질 수 있을까요?

그의 책을 읽으며 자그마한 용기를 내 봅니다. 



정말로 가장 빨리 한 권의 책을 쓰고 싶다면 이런 책을 읽거나 글쓰기, 책 만들기 워크숍을 들으러 다니는 것이 아니라, 지금 당장 컴퓨터를 켜서 워드 프로그램을 열거나 펜을 쥐고 노트를 펼친 뒤, 이야기의 첫 문장을 적어나가기 시작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 글의 가장 마지막 문장에 마침표가 찍혔을 때, 비로소 한 권의 책이 완성될 것이다. 


-p.202




그러니 일단, 써야겠죠.



이 텅 빈 페이지가 당신의 첫 페이지가 되기를.




** 수오서재에서 보내주신 책을 읽고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