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 138억 년 전 빅뱅에서 시작된 별과 인간의 경이로운 여정 ㅣ 서가명강 시리즈 9
윤성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월
평점 :
이 책을 앞에 두고 처음엔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고2 때부터 궁금했으나 알 수 없었던 그 세계를 이해해야만 하는 때가 드디어 도래하였는가..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이전부터 읽고자 하였으나 제 지식은 빅뱅 이전 혼돈의 시대에 머물러 있으니 어찌 감히 접근할 수 있을까요.
하지만 이 책은 혹시 이해를 못 한다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오디오 강의나 유튜브 강의가 있으니 용기를 내자고 스스로의 용기를 북돋고 읽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런데!
천문학 책이 더 이상 쉬울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쉽게 서술되어 있었으며 정돈도 잘 되어 있었습니다.
독자가 하늘을 바라보고 거기에 별이 있다는 것만 알지 천문학에 대한 지식은 제로라는 걸 마치 염두에 둔 것처럼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천공의 세계로 안내합니다.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는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가명강' 시리즈의 아홉 번째 책으로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윤성철 교수의 강의를 엮었습니다.
혹시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의 청취자이거나 JTBC '차이나는클라스' 강의를 통해 윤성철 교수를 만나본 분도 계실지 모르겠는데요. 저는 윤성철 교수의 강의가 처음이라 약간 긴장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늘의 별을 사랑해 아마추어 천문동아리에서 활동했던 동생과는 달리, 저는 별자리의 전설을 떠올렸던 문과 감성 충만한 이과였기에 고등학생 때 몇 파섹... 겉보기 등급 이런 이야기할 때 이미 천문학과는 작별을 했습니다.
하지만 전설보다 더 가까운 과학이기에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읽어볼까 말까 망설였었고, 아이가 <코스모스>를 읽을 때에도 저는 고3 때 스티븐 호킹의 <시간의 역사>를 구해 읽다가 좌절한 경험을 떠올리며 다른 과학책은 몰라도 천문학에 관한 과학 책은 좀 두려워 접근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 천문학 책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는 더 이상 김수현만 별에서 온 그대가 아니라 우리 모두 별에서 왔음을 이야기하는 아름다운 책이었습니다.
온 우주에 물질들이 흩어져 대 혼돈의 시기에 우연히 일어난 빅뱅은 별의 탄생과 더불어 우리 생명이 시작되는 시초가 되었으니 그 거대하고 위대한 사건을 떠올리면 마치 신화의 그 무엇 같기도 하여 장엄함에 가슴 벅차오름을 느낍니다.

우리 인간의 DNA에 새겨진 정보와 원소들은 빅뱅을 통해 우주에 존재했던 그것이라는 문구는 나 역시 우주의 한 부분이라는 것을 느끼게 했습니다.
아름답지 않은 나라도, 아름다움을 구성하는 우주의 한 부분이니 아름답지 않다 말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제가 이렇게 말한다면 이 책이 우주에 관한 감상적인 말이나 늘어놓는 그런 책으로 오해하실 수도 있겠습니다만은, 이 책은 그런 책이 아닙니다.
고대인들이 생각해고 있던 우주,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이어지는 과정. 그들이 고민했던 천체의 움직임에 대한 증명.
케플러, 갈릴레이, 허블, 아인슈타인...
그들의 이론에 대해서도 알기 쉽게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깊이 들어가려면 무척 어려운 부분이 되겠지만 하늘에 별이 있구나... 하는 정도만 아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을 하니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두려워했던 저도 이 책을 편하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나아가 마지막에는 가슴 찡한 감동을 받았는데요.
과학 책에서도 이런 감동을 받을 수 있구나.... 하며 책을 덮었습니다.
우주와 지구, 그리고 우리 생명체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제주에 사는 저는 깜깜한 밤에 동네 빈터에 나가 하늘을 보면 아직도 반짝이는 별들을 바라다볼 수 있습니다.
시야에 아무것도 걸리는 것 없이 하늘을 보고 있노라면 가끔 외롭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광활한 우주에 나 혼자뿐인 것 같다는 외로움 같은 거죠.
하지만 지금부터는 다를 것 같습니다. 나 역시 우주의 일부고 저 하늘 별들과 함께 하는 거니까 외롭지 않아요.
과학책을 읽고 난 결론이 이런 것이라니.
조금 부끄럽고, 조금 뿌듯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