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3 : 세종·문종·단종 - 백성을 사랑한 사대부의 임금 조선왕조실록 3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덕일의 <조선왕조실록>을 읽기 시작할 때만 하더라도 이제는 더 이상 역사를 모른다는 소리를 하지 말자는 생각으로, 공부하는 마음가짐으로 펜을 들고 시작했습니다. 어렵게만 느껴지는 역사를 차곡차곡 읽다 보면 내게도 얻어지는 무언가가 있겠지 싶었거든요. 그러나 이 책은 그렇게 정신 바짝 차리고 읽을 필요가 없었습니다. 읽다 보면 흐름이 느껴지고 왕과 대신의 모습이 눈앞에 그려졌거든요. 조금 심각한 소설을 읽듯이 자연스레 읽을 수 있었습니다. 필요한 건 펜이 아니라 놓치기 싫은 마음으로 붙일 플래그 스티커뿐이었습니다. 책을 다 읽고 만족하며 내려놓는 걸 보고 아이가 "책이 아니라 고슴도치네?"라고 말할 정도로 페이지마다 플래그가 덕지덕지. 그렇게 즐거웠습니다.

이덕일의 조선왕조실록 전편은 읽지 못한 채 3권- 세종, 문종, 단종 편 - 을 먼저 접하게 되어서 괜찮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괜한 걱정이었습니다. 역사는 흐름이라더니.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시간에 마음을 맡기기만 하면 되었거든요. 상왕으로 물러난 태종과 노상왕인 정종, 그리고 세종까지 세 왕이 함께 연회장에서 춤을 추는 장면, 게다가 신하도 함께 춤을 추었다니 상상하며 크게 웃었습니다. 근엄한 모습의 왕들만 상상해왔기에 서로 함께 춤을 추는 대목에서 현대식 춤으로 상상되어서 괜히 웃겼거든요. 그렇지만 늘 즐거웠던 건 아닙니다. 아시다시피 왕실은 늘 시끄러웠잖아요.

책의 초반부터 깜짝 놀랄만한 기록이 있었습니다. 세종 하면 백성을 위하는 왕이라는 이미지가 있었기에 '금부민고소법'이라는 수령고소금지법을 예조에 명하다니. 충격적이었어요. 수령고소금지법이라는 건 말하자면, 아전을 포함한 백성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을 수령을 고소할 수 없는 법인데요. 만일 이를 어긴 자는 장 100대에다가 3000리 유배를 보낸다는 겁니다. 세종의 이미지는 후세에 만들어진 것이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알겠어요. 후에 한글이라 불리는 언문을 만들고 재주(능력)만 출중하다면 신분 차별 없이 등용하여 썼다는 점 등으로 존경해 마땅하지만, 수령고소금지법이라거나 노비제에 있어서 종모법으로 개혁을 시도했다는 건 전혀 몰랐기에 깜짝 놀랐습니다. 사대하는 명나라가 종부법인데도, 사대부의 이권이 보장되는 - 나아가서 나라의 세금이나 병력에 손실이 되는 종모법을 추진했다는 것은 모른 채 노비에게 출산휴가 주었다는 점만 부각시켜서 '애민 군주'라고 말하다니. 얼마 전 출산휴가와 관련된 기사를 읽으며 감동했던 내가 바보처럼 느껴졌습니다.

조선의 건국을 눈으로 보고 몸소 체험했던 태종은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지 않음을 알고 있었지만, 세종은 그렇지 않았기에 전형적인 재벌 2,3세 마인드였던 것 같습니다. 과거와 현재 시비의 기준이 다르니 지금의 잣대로 잴 수는 없겠지만, 현대를 사는 백성인 제 기준으로는 백성을 사랑했다기보다는 사대부를 사랑한 왕이라는 느낌은 지울 수 없었습니다.

그렇다고 이젠 세종이 싫어졌다는 건 아닙니다. 눈에 씐 콩깍지가 떨어졌을 뿐입니다. 누가 뭐래도 세종은 역사 덕후였고, 언어 학자로서의 자질을 발휘해 한글을 만드셨기에 제가 한자를 잘 몰라도 지금 이렇게 글을 쓸 수 있으니 감사할 따름이지요. 역시 세종도 사람이었구나 하여 인간미도 느꼈습니다. 100 퍼센트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걸 다시금 느꼈죠.

세종의 아들 문종은 문무를 겸비했을 뿐만 아니라 과학도 아주 좋아했고, 소문난 미남이었다던데 일찍 죽어서 참 안타깝습니다. 오래도록 살아서 나라를 다스렸다면 조선의 역사는 달라졌을지도 모릅니다. 단종이 조금 더 나이가 들어서 즉위했다면... 아... 제가 세상에 없었을 수도 있군요.

이 책은 흥미롭고 즐겁습니다. 오랜만에 머리에 쏙쏙 박히고 감정을 오르내리게 하는 역사 책을 만났어요. 조선왕조실록 1, 2권도 구해서 읽어야겠어요. 근간 출간될 후속들도 모아야겠습니다. 읽고 들려주고 권하고 싶은 책이거든요.

실은 이 책이 어려울까 봐 사두고 묵혀둔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을 먼저 읽을까 했는데 그럴 필요가 전혀 없었습니다. 오히려 이 책을 읽으니 설민석의 책도 읽어서 큰 흐름을 알아두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역사가 스포라지만, 제가 알고 있던 일들의 배경이라거나 내막을 알고 나니 시야가 조금 넓어진 것 같습니다. 지금의 잣대로 과거를 판단하여 옳니 그르니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과거를 알고 고찰을 한다면 미래의 향방을 고민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는 것을 이번에 실로 느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