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이 있는 식탁 유대인 교육의 비밀 - 아이의 공부 저력은 밥상머리에서 만들어진다
심정섭 지음 / 예담Friend / 2016년 2월
평점 :
품절


 

 

 

 

 

 

 

 

 몇 주전 방영된 TV프로그램 비밀독서단에서도 다루었던 유대인의 책, 탈무드가 생각났습니다. 그들이 읽는 책과 교육법은 우리나라 학부모에게도 커다란 관심사일거라 생각합니다.

유대교를 믿고 있는 그들답게 지금껏 안식일을 기억하여 종교적인 의식의 교육법을 실천하는 모습이 대단하다고 느꼈습니다. 우리나라는 꼭 종교라는 형식 말고도 한국사라는 역사를 되짚으며 교육하자는 저자의 발언에 공감되었는데요, 어쨌든 학원에 의존하며 주입식 교육이 주를 이루는 대한민국의 교육보다는 질문과 토론이 일상화되어 있는 유대인의 공부법이 좋은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은 전혀 의심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학교에서도 교사연수때 하브루타 수업에 대한 강의를 들은 적이 있었거든요. 이것 또한 이러한 교육법의 하나라고 합니다. 자녀교육의 주된 장소가 식탁인 것은 스토리텔링 육아의 전형같습니다. 아이의 질문을 두렵고 귀찮아하기 보다는 이 책의 소제목답게 대화로 아이의 질문력을 키워라라는 말 또한 고개가 끄덕여지네요. 아이의 입이 열리면 생각이 열리겠지요? 다소 엉뚱한 이야기를 하더라도 오히려 환영하며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으며 이야기하는 방법. 생각이 확장되는 계기가 될 것 같습니다.

 

 

 

 

 

 

 

 또 한가지는 책장에 전집을 진열해놓으며 뿌듯해하기 보다는 한권이라도 제대로 파고들게 하는 집중력있는 독서가 유익하다는 것입니다. 간절함이 있을 때 공부도 잘 되고 스스로 할 수 있듯이 일부러 큰 돈을 들여 전집을 사놓기보다는 아이 스스로 필요성을 느낄 때 한권씩 사주라는 말에 무릎을 탁! 쳤습니다. 저희 아버지가 생각났기 때문이죠. 어린 시절, 지금은 없어진 광화문 종로서적을 한달에 한번씩 데려가시며 저희 남매에게 책을 한권씩 사주셨거든요. 그때 읽은 세익스피어 4대비극이나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는 아직도 뚜렷하게 기억난답니다. 내용뿐 아니라 책의 표지며 촉감까지. 닳고 닳을때까지 너무 재밌게 읽었거든요.

 어쨌든 이 책은 밥상머리교육을 중요시하며 4가지 챕터로 주제를 요약합니다. 아이가 배워야 할 것은 가족 식탁에 있으며, 유대인의 힘은 독서와 토론에서 나온다는 것, 배려하고 감사할 줄 알아야 올곧은 인재로 자라며, 부모가 바로 서야 가족이 행복하다는 단순한 진리. 지성뿐만 아니라 인성이 바른 아이로 키우며 자라기 위해 유대인의 교육법을 모방해보아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