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괜찮은 어른이 된다는 것 - 말보다 행동으로, 훈계보다 배려로 보여 주는 품위 있는 삶의 태도
김경집 지음 / 오아시스 / 2025년 10월
평점 :
괜찮은 어른이 된다는 것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누구나 나이를 먹으면 어른이 되지만 어른의 존재론적 품격을 고찰한다면 이것을 갖춘 이가 얼마나 해당되는지는 의문이다. 신체적인 나이를 젊게 하기 위해서는 갖은 노력을 다하지만 정작 어른으로서 깊이 있는 생각을 하는지, 관계가 경직되진 않았는지, 타인을 존중하고 존중받는지의 여부에 대해선 전자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것 같다. 오늘 읽은 책 <괜찮은 어른이 된다는 것>은 내가 놓치고 있던 내면이 단단한 어른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어 반가웠다. 최소한의 성숙한 인격을 갖추고 공동체의 일원으로 의무를 다하는 것만으로도 꽤 괜찮은 어른이 아닐까?
목차를 살펴보니 눈에 띄는 문장이 많았다. 나이 들지 않는 대화 주제를 갖는 비결, 어른의 중용, 빛이 아니라 볕의 삶을 산다는 것 등 읽어보고 싶은 내용이 눈에 띄었다. 스포트라이트같은 빛은 거창하고 빛나며 평판이나 승진에 어울리는 듯한 부담감이 든다. 물론 자존감과 명예를 높이는 매력적인 것이긴 하지만 말이다. 반면 볕은 보이지 않지만 온기가 있고 주목하지 않지만 평화를 준다. 볕이 된다는건 누군가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함께 있어 주는 일일 것. 어른이 된다는 것은 빛이 사라지는 걸 아쉬워하는 대신 볕을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라 생각하면 될 일이다. 어제 드라마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 부장 이야기>를 보니 자신이 가치 있다고 생각한 것을 한순간에 잃어버린 한 중년 남성이 대기업 부장이 아닌 진정한 본인의 모습을 찾아가고 있는데 그 또한 괜찮은 어른이 되어가고 다듬어져가고 있다고 느껴졌다.
내가 살아온 삶의 방식으로 다음 세대를 재단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에 깊이 동조한다. 왜 결혼을 하지 않고, 아이를 낳지 않냐고 따질 것이 아니라 진짜 어른이라면 사회 안전망을 제대로 구축하고 계층 이동 가능성을 높이며 안정된 고용 환경을 마련하는 본질적 문제를 해결하는 세상을 추구해야 하겠다. 이게 나잇값이고 존경받을만한 일이다.
꼰대처럼 훈계하기보단 배려하고 몸소 행동으로 보여주는 어른, 품위 있고 겸손한 어른이 되고 싶다. 자기계발서보다 철학적인 지침서라 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