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과 진주 다정다감 그림책 27
티나 발레스 지음, 누리아 솔소나 그림 / 다정다감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굴과 진주


 

난 진주가 조개에서만 생기는 줄 알았는데 오늘 본 그림책을 통해 굴에서도 생긴다는 걸 알았다. 검색해보니까 진주조개, 전복, 대합과 같은 부족류 조개의 체내에 생기는 딱딱한 결정이 바로 진주였다.

 

왠지 무서운 것들로 가득찬 것 같은 파도가 넘실대는 바다를 아주 무서워했던 굴은 온종일 껍데기를 다물고 지내다가 용기를 내어 조금씩 연 틈을 타 작은 모래알을 만났다! 자신의 몸 한구석에 떡하니 자리를 차지하고 미끄러져 들어온 모래알을, 처음엔 침입자로 생각하고 거부하며 당장 나가라고 말한다. 싫다고 버티는 모래알과 불편한 동거(?)를 시작한 굴은 어느 날 오후 곤히 낮잠을 자고 있는 모래알을 지그시 바라본다. 성가셨던 모래알 하나가 굴의 평범했던 일상을 흔들며 소중한 존재로 변모한다. 둘은 함께 하며 서로 진심을 나누며 친해진다. 그러자 모래알은 반짝이는 진주가 된다!

 

물론 굴의 생애주기, 바다에서의 굴의 역할 등 굴에 대한 생물학적 정보도 말미에 소개되어 있었지만 이것들보다 그림책이 은유적으로 표현한 자연의 신비가 인상적이었다. 글밥 속에 담긴 굴과 모래알이 겪은 성장 과정이 인간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말이다. ‘조그만 모래알 하나가 굴의 마음을, 그리고 세상을 바꾸었어요. 가장 아름다운 진주는 가장 불편한 것에서 시작됩니다.’ 라는 문구가 특히 와닿았다. 진주를 만들어내는 굴은 자기 몸에 들어온 모래 알갱이를 싫다고 내보내지 않고 오히려 감싸 안음으로써 자기 몸에 상처가 나면서까지 보석같은 진주를 만들어낸 것이다. 모래알을 품은 굴을 보면서 정성을 다해 보듬고 감싸는 모습을 배워야한다는 교훈과 성찰을 얻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