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생물학 - 내 몸을 누군가와 나눈다는 것
이은희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엄마 생물학

 

엄마가 되기 위해서 1인용이었던 몸을 자신의 아이와 나눠 쓰는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다? 이 책은 임신과 출산의 의미를 과학적으로 묻는 에세이라 할 수 있겠다. 하리하라라는 필명을 쓰고 있는 과학 저술가인 저자는 세 아이 모두 시험관 아기 시술을 통해 얻었다고 한다. 특이점으로는 둘째와 셋째가 큰 아이를 얻기 위한 시술을 할 때 채취한 배아였고 5년이란 시간이 흐른 뒤 태어났다는 점이다. 발생학적으로 보면 같은 시간에 형성되었지만 캡슐번호표의 순서에 따라 출생 연도가 달라진 아이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읽는다면 아이가 엄마의 몸속에 깃드는 시간과 탄생 그 이후를 한 여성의 생물학적 재생산과, 덧붙여 존재와 진화, 철학에 이르기까지 진지한 물음에 도달할 수 있으리라 본다.

 

목차를 발췌해 궁금했던 부분부터 읽었는데, 내가 심하게 겪었던 [입덧]에 대한 부분과 [갈라지는 배, 휘는 허리], [폐경, 나이가 들면 여자가 아닌 걸까?] 에 대한 물음, [후유증에 대하여]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임신 후 최대 복병은 내게 입덧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구토를 심하게 겪었었다. 입덧한다고 죽진 않았지만 음식 냄새만 맡아도 하도 구토를 하여 위액과 신물까지 올라옴을 경험했다. 책에선 hCG를 언급하며 태아의 성장을 위해 특화된 호르몬을 이야기했다. 이것이 입덧을 일으키는 주요 대상이라고. 보통 안정기에 접어드는 20주 이후에도 계속 입덧을 하던 날 보면 우리 몸이 왜 이렇게 만들어졌는가에 대햇헌 진화로밖에 설명할 수 없다고 하는 저자의 의견에 고개가 끄덕여졌다.

 

한편, 두 아이를 출산하고 40대에 접어든 난 조만간 다가올 폐경에 대해서도 신경이 곤두선다. 하지만 실제로 월경이 끝난 후의 여성의 삶을 기록한 인터뷰에서도 더 이상 월경을 안하는 것보다 노화에 대한 두려움이 더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하니 여성이 죽을때까지 월경을 할 수 있게 만든다고 하여 일생이 더 행복해지지는 않을 거라는 말이 와닿는다.

 

책은 각종 객관적 정보가 가득하다. 출생 성비와 출산율을 나타낸 표이며, 체온을 함께 유지하는 펭귄들의 허들링 모형도 제시한다. 여성의 몸속 지도인 생식 기관과 주변 장기의 상세한 설명, 난막을 뚫고 부화중인 배아까지 시각적인 자료를 통해 생물학적인 수치와 결과가 우리 삶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엄마로서 읽기 잘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