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해하는 자기애 - 스스로를 상처 내는 사람을 위한 심리학
사이토 타마키 지음, 김지영 옮김 / 생각정거장 / 2024년 7월
평점 :
자해하는 자기애
이 책을 통해 ‘자상적 자기애’라는 뜻을 알게 되었다. 자존심은 강하지만 자신감은 없는 상태가 가장 적합할 것 같다고 저자는 말했다. 강한 자존심과 약한 자신감 사이에 생기는 격차가 바로 핵심 구조다. 이상적 자기 이미지의 요구 수준이 높아 현실의 자신을 부정할 수 밖에 없는 것. 하지만 그 모습은 누구보다 객관화할 수 있기에 타인 앞에선 자기비하를 계속하는 형태. 자신을 괴롭히며 멀쩡함을 증명하는 것은 타인에게 해를 주지도 않고 한편으론 쾌감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자기 부정은 사실 인정을 바라는 호소라고도 할 수 있다. 스스로를 제어하면서도 자신과 화해하는 것은 타인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일보다 훨씬 더 어렵다. 누구든 빠질 수 있는 뒤틀린 자기애를 통해 자기비판을 계속하는 사람은 타인의 호의와 애정에 둔감하기 쉽고 그것을 부정해버리곤 한다. 반대로 모순되게도 자상적 자기애에 빠진 사람은 타인의 호의를 과대평가하여 집착을 보이기도 한다니 공격적인 스토커가 될 수도 있음을 인지해야겠다.
자신을 평가할 때 타인의 인정에 압도적으로 의존하는 경향은 자기 인정이 서툰 젊은이들에게 나타나곤 한다. sns을 예로 들면 타자의 주관을 집합적이며 정량적으로 가시화하기 때문에 주관에 지나지 않은 사실을 객관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인정 의존은 행복감을 주기도 하지만 불안과 불행을 안겨주기도 함을 깨달아야 한다. 불안을 막연히 부정적인 감정으로만 치부할 것이 아니다. 자기긍정감 없이도 열심히 살며 성공한 사람들이 넘쳐난다. 자기긍정감과 자기애는 분명히 다르다. 건강한 자기애의 성숙을 위한다면 성급한 자기긍정감의 추구는 오히려 방해가 될 수도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나를 보호하기 위해 스스로를 파괴하는 아이러니. 자신을 부정하고 비난하는 것의 이면엔 자기애가 존재하고 있음을 안다면 좀 더 자신을 파괴적이 아닌, 건강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ㄴㅁㄴㄹㄴㅇㄹㄴㅇㄹㄹㅇㄴㄴㄴㅇㄹㅁㄴ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