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지키는 관계의 기술 - 건강한 인간관계를 위해 적당한 거리를 만드는 명쾌한 방법
네드라 글로버 타와브 지음, 신혜연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를 지키는 관계의 기술

 

가족과 관계 맺는 방식은 세상과 관계 맺는 방식과 대개 닮아있다. 저자는 말한다. 가족관계는 가장 흔한, 건강하지 못한 인간관계라고. 인격이 형성되는 시기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그 이후로도 상당한 시간을 보내기 때문이라는게 그 이유다. 어린 시절은 지금의 나와 상관없다고 여긴다 할지라도 가지고 있는 것 중 나쁜 것은 버리고 좋은 행동만 취할 순 없다. 책은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 가족과 어떻게 성공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을지 혹은 더 이상 관계를 유지하고 싶지 않은 가족과 어떻게 관계를 끊을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다. 미국 심리치료의 최고 전문가가 말하는 단계별 해결책을 함께 찾아 나서보자.

 

우린 경험을 통해 상대가 바뀐다는 건 정말로 쉽지 않다는걸 안다. 상대가 바뀌지 않을 때 내가 바꿀 수 있는 건 무엇일까? 상대방의 능력에 대한 기대, 상대방 자체에 대한 기대를 거둬야 한다. 기대는 건강한 것이지만 상대방의 역할이 아닌 상대방 자체를 기준으로 두어야 한다는 사실을 이 책을 읽으며 깨달았다. 또한 다 괜찮은 척 연기하지 말고 건강한 관계를 위해선 때로 험한 대화와 엄한 바운더리가 필요할 때도 있음을 인지하라. 대화 방식과 말투의 변화야말로 내가 바꿀 수 있는 것이지 않은가.

 

때로 어떤 사람은 근처에만 두어도 해롭다. 변화 가능성이 없는 관계는 끝내는 것이 좋다. 상대가 사과할 일을 계속 반복할 경우 그건 자신의 사과가 무효임을 선언하는 것과도 같다. 그러다 어느 시점이 되면 용서를 당연시한다. 독이 되는 용서는 평화를 유지하려고 억지로 하는 것이기에 자신의 정신 건강과 인간 관계에 좋지 않다. 우린 대부분 진심으로 용서하거나 잊지 않는다. 용서와 망각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현실적 접근법이 아님을 저자는 이야기하고 있다.

 

목차는 총 3개로 나뉘어 역기능에서 벗어나기’, ‘치유하기’, ‘성장하기의 단계를 거치는데 마지막 단계에서 배우자 가족과의 문제를 유심히 읽어보았다. 시가와 처가 식구들과의 관계에서 그들은 이미 가족이었음을 전제하고 살펴본다. 수용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편이 그들을 이상적인 존재로 변화시키려 노력하는 것보다 훨씬 유익함을 의미한다. 며느리의 입장에서 시가와의 관계를 어떻게 개선하는 게 좋은지 항상 고민이 많다. 책은 말한다. 시어머니에게 이상적인 어머니 모습을 기대하지만 않는다면 그들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이고 그들과 다정하고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고. 친해지려 애쓰지 말고 그저 다정하게 지내는 것이 정답이다! 내 눈에 보이는 역학 관계가 때때로 그들에겐 문제가 아닐 수 있으니. ‘육아방식이 다르거나 얽매인 관계, 요청하지 않은 조언을 끊임없이 함등이 내담자들이 시가, 처가 관계에서 가장 힘들다고 말하는 경우라 하는데 200% 공감한다. 저마다의 가족 서사가 있기에 무엇이 옳고 그름을 따질 순 없지만 다르다면 안전거리를 서로 유지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동안 마음속으로 고민해왔던 어느 부분이 책을 읽고 다소 해소되는 기분이 들어 상쾌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