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르시시스트 관계 수업 - 엄마로 인해 무기력한 딸을 위한 회복 심리학
브렌다 스티븐스 지음, 이애리 옮김 / 유노라이프 / 2023년 4월
평점 :
나르시시스트 관계 수업
이 책의 부제처럼 ‘사랑이라는 무기에 휘둘리는 딸’들은 필히 읽어볼 만하다. 그 사랑이라는 이름을 휘두르는 사람은 다름 아닌, 엄마다! 나르시시스트라는 특징을 가진 엄마들은 여러 관계들 중 가장 유대감이 깊고 애틋하다는 모녀 사이를 어긋나게 만든다. 어린 시절부터 엄마에게 상처를 받은 딸들이 자존감을 복구할 수 있는 용기를 이 책에서 만나기를 고대한다.
엄마의 기쁨을 위해 애쓰는 딸 도나의 에피소드를 들으며 마음 아팠다. 도나의 엄마는 자신이 걸어온 길을 딸이 그대로 밟길 바랐다. (이 얼마나 폭력적인가!) 엄마의 굴레는 성인이 되어서도 반복되었고, 나르시시스트인 엄마는 자신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 죄책감과 수치심, 심지어 무력감까지 이용했다. 본인이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타인의 관심을 얻으려고 딸의 의무감과 연민, 동정심까지 의존한 것이다. 나르시시스트 엄마를 둔 딸들의 공통점은 본인의 욕구는 제쳐두고 엄마에게로 주의를 돌린다는 것이다. 이른바 ‘부모화’. 어린아이 상태에 갇힌 사람으로서 엄마에게는 감성지능과 좌절을 견디는 힘이 매우 부족하다. 엄마같은 이들이 치료를 받는 일은 아주 드물다. 그들은 자신에게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자신의 두려움을 남편, 친구와 같은 성인에게 나누는 것이 아니라 딸에게 털어놓는다. 딸들이 부모화나 역할 반전을 겪는 동안 불행히도 그녀들이 즐거움과 쾌활함, 유머 감각이 부족한 성인으로 자라게 만든다.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가진 엄마를 둔 딸들은 엄마를 비롯한 타인으로부터 존중을 받을 수 있을 만큼 자존감을 높이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겠다. 책은 주도권을 내 손에 쥐는 방법을 알려준다. 트리거를 알아채고 감정의 기원을 추적하며 다시 프로그래밍하는 것이다. 상대의 태도 대신 스스로 느낀 두려움이 어디에서 왔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고 트리거와 감정을 이해함으로써 이 둘에 대한 통제력을 얻을 수 있다. 무너진 자존감을 회복하는 길을 위해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연습을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자신을 신뢰하며 사실에 집중해야 한다. 회복 과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될 때까지 된 척하라’ 는 말을 기억해보자. 매일 확언을 하면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말을 건네고 믿게 될 것이다.
이 독특하고도 은밀한 나르시시즘 학대를 알게 되면서 자신의 삶을 통찰하는 능력을 잃어버린 가여운 딸들이 이 책을 통해 회복되었으면 좋겠다. 자신의 의도와는 어긋난 관계를 맺고 힘들어하는 모습을 이제는 끊어내고 엄마와 딸이라는 복잡한 애증 관계를 꼭 풀어가 보자.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