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으로 만들어갑니다 - 차곡차곡 쌓인 7년의 기록
김수경 지음 / 지콜론북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집으로 만들어갑니다


 제목을 읽으니 마음이 몽글몽글 포근해진다. ‘우리 집’ 이 주는 따스함과 쉼터같은 편안함이 전달되어서였을까저자의 7년간의 기록이 마치 내 이야기처럼 읽히는 이유다.

 

 그녀의 이야기는 방 세 개인 25평 아파트의 평면도에서 시작한다네 식구의 침실과 아이들 장난감방옷방으로 꾸미며 공간을 진짜 우리 집’ 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이 상세하게 그려져 있었다나도 지금 합가를 하고 있는데 몇 년 뒤엔 우리만의 공간으로 분가할 계획이다그래서 앞으로 방을 어떻게 꾸밀지주방과 화장실은 어떻게 만들지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행복을 꿈꾸고 있다저자의 책이 심리적으로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

 

 챕터 <매일 쓰는 물건일수록 좋아하는 것이어야 한다>를 읽고 우리 엄마가 생각났다우리 엄마의 최애는 그릇인데 이 책에서도 그릇이야기가 나온다혼수 세트상품으로 사들인 그 유명한 그릇은 이사할 때마다 상부장의 반을 의미 없이 내어주며 무거운 짐이 되었다고이 집으로 이사온 후 적당히 굽이 있고 단정하고 매끄러운 모양에 푸른 무늬가 모두 다르게 그려진 부부 밥공기를 샀고 정말 좋아하며 오래오래 쓰고 있다고 말했다이 밥공기에 새 밥을 지어 담으면 자신의 일상이 근사해진 것 같은 느낌이 든다니 나도 신랑과 아이들의 밥상을 차리며 느껴보고 싶은 순간이다. <살림 노트>에서는 톤만 조금씩 다를 뿐 모두 같은 색으로 보이는 옷장의 옷들을 이야기했다오래되었지만 여전히 좋은 것맨살에 닿는 감촉이 부드러워 기분마저 느긋해지는 것조금 더 늘씬하게 보이는 것입지도 않으면서 미련만 깊어 보관만 하고 있었던 것들을 보며 깨치는 것들을 비운다고 했다다가오는 계절마다 켜켜이 쌓아두었던 나를 풀어놓고 거울에 비친 지금의 나를 바라보게 만드는 중요한 일나도 얼마 전 여름 옷들을 꺼내놓으려 옷장을 뒤집었는데 저자와 같이 내 취향이 읽혀 자괴감이 들었다색은 거의 무채색이고 출산 후 찐 살로 사이즈가 다 스몰이 되어버렸다옷도 살림살이 중 하난데 입지도 않거나 못 입으면서 꽉 들어찬 옷장을 보니 기가 막힌다이번 기회에 옷장도 슬림하게내 몸도 슬림하게 만들 것을 다짐한다. <살림의 재정비>에서도 유사한 이야기가 연결되는데 한 번에 한 가지를 계획하되 구체적으로 해야 할 일을 목표로 정한다서랍 속 유통기한이 지난 약과 화장품을 버리겠다고 계획하는 것처럼집안일은 뫼비우스 띠처럼 연결되어 있어 하나를 마무리하면 그다음 일이 수월해진다.

 

 저녁이 되어 어느 집에서 나는 밥 짓는 냄새국 끓이는 소리내가 좋아하는 반찬냄새가 나면 덩달아 행복해진다우리 집도 내가 만들어가기 나름이겠지저자처럼 집 안을 살뜰히 돌보며 꾸미고 싶어졌다.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