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족 공부 - 우리가 평생 풀지 못한 마음의 숙제 ㅣ EBS CLASS ⓔ
최광현 지음 / EBS BOOKS / 2022년 5월
평점 :
가족공부
요즘 브라운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상담프로그램의 대부분은 ‘가족’관계의 갈등을 다루고 있다. 마치 애증의 딜레마에 빠진 듯 너무나 소중하지만 가장 상처를 주는 사이. 어느 가족이든 문제가 없는 가족은 없다. 단지 상대적일 뿐이다. 가장 안전한 공간이자 안식처인 가족이 어떤 면에선 가장 깊은 상처와 아픔을 줄 수 있다. 책은 <가족공부>라는 제목을 통해 부모와 자녀, 부부, 세대 갈등을 깊이 있게 다뤘다.
핵심은 가장 친밀한 ‘적’ 인 가족에게 받은 상처를 극복하는 출발점은 자기 자신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었다. 모든 상처의 회복은 ‘나를 사랑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자신에게 상처 주었던 가족을 용서하고 화해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바로 상처받은 ‘나 ’자신을 존중하고 용서하는 것. 자신을 더 이상 수치스러워하지 않는 것이 진정한 화해의 시작이었다.
나는 아들만 둘이라 <엄마와 아들_애착과 독립, 중독과 착한 아이 콤플렉스 사이>를 먼저 발췌해 읽었다. 모자 공생관계는 엄마와 아들 사이의 전형적 역기능 중 하나인데 이 둘은 경계가 없어 엄마의 감정이 곧 아들의 감정이고 엄마의 생각이 아들의 생각으로 하나의 덩어리가 됨을 뜻했다. 정말 고통스러운 관계다. 20대 중반의 형제를 상담한 저자는 엄마가 형제를 엄마 본인 없이는 아무것도 못하는 의존적인 존재로 키웠음을 발견했다. 성인이 되어 형제가 엄마로부터 벗어나려 할 때 그들은 엄청난 비난을 들었고 엄마의 생각과 감정을 강요당했다. 이 사례를 보고 독립과 애착의 적절한 균형이 필요함을 깨달았다. 즉,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져야 했다. 엄마는 아들을 관대하게 바라볼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고 가족 안에서 둘의 관계가 어떤 모습인지 객관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엄마의 그늘을 벗어날 수 있도록. 갓난 아이도 엄마의 생각과 느낌을 매우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고 심리학은 말한다. 본능적으로. 이때 아이들은 커가면서 착한 아이 콤플렉스를 가질 수도 있어서 3~40대 성인 아들과 엄마가 상담을 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부모나 타인의 요구와 기대에 얽매여 살아온 경우가 그것이다. 타인을 향한 시선과 마음을 거두고 나를 사랑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부부소통_존중하지 않으면 들리지 않는 가장 가까운 벽> 에선 남편의 불륜 때문에 찾아온 70대 부부의 상담 사례를 들려주었다. 저자는 이 부부갈등의 근본적인 문제가 ‘존중’에서 비롯됨을 깨닫고 부부사이의 대화에 대해 조언한다. 소통에는 관계의 원리가 작동하고 영원히 인내할 수 있는 일방적 관계 또한 없다. 부부는 서로 일정한 영향력과 힘을 존중할 수 있는 것이 사랑의 기술이다. 반드시 피해야 할 네가지 소통 방식도 언급해놓았다. 일상에서 서로 존중하며 소통함을 통해 그 한 사람이 맺고 있는 모든 관계의 표정이 결정된다니 당장 내 표정부터 살펴보아야겠다.
의도치 않았지만 상처를 주고받는 가족을 위해 공부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당연한 것은 하나도 없다.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