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바라기 - 방황하는 어른을 위한 삶의 의미
존 콜먼 지음, 정지현 옮김 / 프리렉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적바라기

 

  크래프트(craft) 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수공예로 번역되는 이 단어는 이 책의 원제 <목적 크래프팅을 위한 가이드>에 적혀있듯 삶의 목적과 의미를 수공예 작품처럼 세심히 다듬어 나가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렇다면 삶의 의미는 무얼까? 나이를 먹고 어른이 되었다고 목적이 더 분명해지는 것도 아니었다. 방황하는 어른들을 위한 삶의 의미라는 부제를 단 <목적바라기>는 일과 삶, 의미와 즐거움을 훌륭히 가꾼 11인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스쿨버스 운전기사 커티스는 자신의 일에 훨씬 더 큰 의미를 부여해 우리가 삶에서 얼마나 큰 목적과 의미를 느끼는지는 무슨 일을 하는지와 거의 상관없다는 것을 가르쳐 주었다. 직업이 문제가 아니라 스스로 자기 일을 중요하게 만들고 평범한 것을 가다듬어 특별하게 만든 것이다! 지금의 내 위치에 불만족스러웠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반성을 할 수밖에 없었다. 파격적으로 바꿀 순 없겠으나 내가 일하는 방식이나 사는 것에서 의미를 찾는 방법에 대한 생각을 반드시 바꿔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이야기한다. 목적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하나뿐이며 불변하는, 우리가 찾아야하는 목적에 대한 고정관념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목적은 하나가 아니었다. 그것의 원천은 사랑, 취미, 자기계발, 아름다움, 직업, 종교, 철학, 봉사 등 삶의 어디에나 있었다. 일하는 행위는 의미와 자존감의 원천이며 사람들이 그 어느 곳보다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가 일터다. 그래서 직업()에 의미가 있어야만 목적과 즐거움의 균형이 이뤄질 수 있다. 그렇다고 삶의 목적을 커리어와 관련된 것으로만 좁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내 삶과 타인의 삶에 모두 의미를 가져다주면서도 과소평가되고 있는 일은 없는지 생각해본다면 그것이 분명 내 옆에 매일 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책은 총 4부로 이뤄져 있었고 그 중 나는 3<목적을 만들다>를 가장 유심히 봤는데, 잡 크래프팅의 기술로 똑같은 일을 다르게 하라든지, 일회용 시대의 장인 정신을 추구하라든지, 직장에서 긍정적인 관계에 집중하라는 내용이 와닿았다. 특히 후자에서 강점 기반 리더십은 약점을 보완하고자 노력하기보다 강점을 발전시킬 때 효율적인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관계에도 적용되어 소수의 가장 소중한 관계에 관심을 쏟기를 조언했다.

 

  삶의 의미를 찾기 희망하는 자기계발서로써 11인의 에피소드와 QR코드, 제시한 대안의 시각적인 효과를 더한 표와 기록할 수 있는 공간을 남겨두어 부정적인 정서 경험에 침체되어 있는 우리들에게 의미있는 것과 즐거운 것을 알아가는 행복의 새로운 워라밸을 제시해주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