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적바라기 - 방황하는 어른을 위한 삶의 의미
존 콜먼 지음, 정지현 옮김 / 프리렉 / 2022년 5월
평점 :

목적바라기
크래프트(craft) 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수공예로 번역되는 이 단어는 이 책의 원제 <목적 크래프팅을 위한 가이드>에 적혀있듯 삶의 목적과 의미를 수공예 작품처럼 세심히 다듬어 나가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렇다면 삶의 의미는 무얼까? 나이를 먹고 어른이 되었다고 목적이 더 분명해지는 것도 아니었다. 방황하는 어른들을 위한 삶의 의미라는 부제를 단 <목적바라기>는 일과 삶, 의미와 즐거움을 훌륭히 가꾼 11인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스쿨버스 운전기사 커티스는 자신의 일에 훨씬 더 큰 의미를 부여해 우리가 삶에서 얼마나 큰 목적과 의미를 느끼는지는 무슨 일을 하는지와 거의 상관없다는 것을 가르쳐 주었다. 직업이 문제가 아니라 스스로 자기 일을 중요하게 만들고 평범한 것을 가다듬어 특별하게 만든 것이다! 지금의 내 위치에 불만족스러웠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반성을 할 수밖에 없었다. 파격적으로 바꿀 순 없겠으나 내가 일하는 방식이나 사는 것에서 의미를 찾는 방법에 대한 생각을 반드시 바꿔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이야기한다. 목적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하나뿐이며 불변하는, 우리가 찾아야하는 목적에 대한 고정관념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목적은 하나가 아니었다. 그것의 원천은 사랑, 취미, 자기계발, 아름다움, 직업, 종교, 철학, 봉사 등 삶의 어디에나 있었다. 일하는 행위는 의미와 자존감의 원천이며 사람들이 그 어느 곳보다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가 일터다. 그래서 직업(일)에 의미가 있어야만 목적과 즐거움의 균형이 이뤄질 수 있다. 그렇다고 삶의 목적을 커리어와 관련된 것으로만 좁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내 삶과 타인의 삶에 모두 의미를 가져다주면서도 과소평가되고 있는 일은 없는지 생각해본다면 그것이 분명 내 옆에 매일 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책은 총 4부로 이뤄져 있었고 그 중 나는 3부 <목적을 만들다>를 가장 유심히 봤는데, 잡 크래프팅의 기술로 똑같은 일을 다르게 하라든지, 일회용 시대의 장인 정신을 추구하라든지, 직장에서 긍정적인 관계에 집중하라는 내용이 와닿았다. 특히 후자에서 강점 기반 리더십은 약점을 보완하고자 노력하기보다 강점을 발전시킬 때 효율적인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관계에도 적용되어 소수의 가장 소중한 관계에 관심을 쏟기를 조언했다.
삶의 의미를 찾기 희망하는 자기계발서로써 11인의 에피소드와 QR코드, 제시한 대안의 시각적인 효과를 더한 표와 기록할 수 있는 공간을 남겨두어 부정적인 정서 경험에 침체되어 있는 우리들에게 의미있는 것과 즐거운 것을 알아가는 행복의 새로운 워라밸을 제시해주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