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이 상처가 되기 전에 - 타인의 말, 행동, 기분으로부터 내 마음을 지키는 법
충페이충 지음, 이신혜 옮김 / 유노북스 / 202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감정이 상처가 되기 전에

 

  타인의 말에 좌지우지되지 않는 것이 날 사랑하는 방법이란 걸 알면서도 실천하기가 쉽지 않았다. 귀를 쫑긋 세우고 일희일비하게 되는게 나이다. 그런 점에서 오늘 읽은 서평도서 <감정이 상처가 되기 전에>는 타인의 말과 행동으로부터 내 마음을 지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 많은 도움이 되었다.

 

  강철멘탈은 이렇게 말하겠지? ‘그건 네 생각이지 나랑 무슨 상관이야?’ 라고. 그렇다. 모두가 다 내 마음 같진 않으니 타인이 나와 다르다고 해서 자괴감을 가질 필요는 전혀 없었다. 자기 긍정감을 가진다면 단단한 마음은 더욱 튼튼해질 것이다. 책은 왜 타인의 말과 기분에 휘둘리는지 나를 자극하는 외부의 부정적 감정들에 대해 다루는 것부터 이대로 충분한 나를 인정하는 방법, 내면의 힘으로 삶을 가득 채우는 방법, 사랑받는 이기주의자의 심리 기술에 이르기까지 성숙한 관계를 위해 실천해야 할 것들을 알려주었다.

 

  심리상담가인 저자가 만난 내담자들 중엔 상대에게 안정감을 느끼기 어렵다고 토로하는 이들이 많단다. 버림받을까 봐, 미움받을까 봐 두려워하는 것이다. 내면의 욕구와 감정을 타인에게 전가해 자신의 긴장을 해소하려 한다는 투사 이론에 따르면 내가 그를 버릴 생각을 갖고 있기에 버림받을 것을 두려워하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나를 떠날 생각이 없었지만 그에게 만족하지 못한 내가 이런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안정감이 부족한 건 내가 까다롭기 때문이다란 제목의 내용인 이것은 진정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상대를 존중하고 적응하며 나와 그가 다른 존재라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타인의 말에 너무 휘둘리는 성향의 사람은 비난을 듣자마자 너무 쉽게 상대방의 비난을 인정해버리는 경향이 있다. 자신을 똑바로 보지 못하면 타인이라는 거울을 통해 자신을 비춰보게 된다. 이들은 자신의 절망감과 무기력함을 폭발적인 분노, 아주 작은 부분에서도 실수하지 않으려 애쓰는, 상반된 두 가지 방어기제를 사용하는데 결국은 자기부정에서 벗어나려면 타인의 말을 선별해 들어야 한다. 우린 우리만의 기준으로 스스로를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이니 말이다. 튼튼한 자아 경계가 생기면 타인의 비판, 비난과 통제를 무조건적으로 수용하지 않게 되며 화낼 필요도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무릎을 쳤다. 오직 나만 나를 평가할 수 있다!

 

  이 책에서 가장 좋았던 내용은 관계를 바꾸는 사고방식의 힘이었다. 요즘 사소하게 남편과 말다툼을 자주 하게 되는데, 그것은 대개 잘잘못을 따지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했다. 하지만 옳고 그름, 좋고 나쁨은 상황과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서 달라진다. 모든 말다툼, 특히 가족 간의 말다툼은 전부 일차원적인 사고(모든 문제를 옳고 그름, 좋고 나쁨으로만 나누고 단 하나의 모범 답안만 도출해 내는 것) 때문에 빚어진다고 했다. 그래서 저자는 다차원적인 사고를 권장했다. 우린 대화를 하면서 상대방의 말도 옳다고 인정하면 화를 낼 필요 없이 소통할 수 있다. 대개 특정 사건 때문에 말다툼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다른 이유가 있을 수도 있다. 다차원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은 초점을 문제 자체에 맞추기보다 문제를 둘러싼 주변에 맞춘다. 이 방식으로 문제를 다루는 법을 익히게 되면 생각이 넓어지며 인간적인 매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 것이다.

 

  책 제목 그대로 감정이 상처가 되기 전에 나와 타인의 성숙한 관계를 위해선 먼저 나를 알아가는 연습이 필요할 것 같다. 타인의 감정을 책임지지 말자. 무엇보다 내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