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심리학으로 육아한다
이용범 지음 / 책이있는마을 / 2021년 5월
평점 :

나는 심리학으로 육아한다
이 책은 아이가 유아기 과정을 ‘심리학’과 ‘신경과학’ 관점에서 풀어본 것이다. 그 시기 아이를 키우고 있는 엄마로서 많은 궁금증이 생겨 책을 펼쳐보았다. 물론 심리학적 연구 결과를 불변의 사실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지만 심리 실험을 통해 인간의 심리적 성향을 얼추 파악할 수 있다면 그것은 인간의 보편적 성향임을 인정해야 할 것이고 유의미한 결과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뇌과학을 심리학과 접목하여 우리의 마음을 뇌와 연계하고 보다 합리적으로 마음과 행동을 분석하고 있어 더욱 관심이 생긴다.
목차만 살펴봐도 흥미로웠다. <아이는 당신의 마음을 알고 있을까?> , <왼손잡이는 유전일까?>, <아이의 지능, 엄마에게 달려 있다> 와 같은 제목은 눈길을 끌었다. 주제를 풀어가기 위해 다양한 연구 이론과 실험사례가 소개되어 있어 신뢰성을 더했다. 이를테면 1978년 데이비드 프리맥과 가이 우드러프에 의해 이루어진 ‘마음 이론’ 은 타인의 마음이나 의도를 예측하는 것인데 과연 아이가 그것을 알 수 있는지 의문이었다. 생후 18개월쯤 되면 아이들은 타인이 자신과 다른 욕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배우기 시작한다. 같은 상황에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하는 걸 ‘틀린 믿음 과제’ 라고 부르는데 동화를 읽을 때도 주인공과 독자의 믿음을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독자들은 애를 태우며 동화를 읽곤 하는 것이다. 이렇듯 상대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면 잘못을 저질렀을 때도 양심의 가책을 느낄 수 있다.
내가 왼손잡이였기 때문에 이 주제도 꽤 궁금했다. 물론 지금은 양손잡이라고 하는게 정확하지만. 신경과학자들은 뇌가 좌우로 나눠져있기 때문에 한쪽 손의 우세가 나타난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다 뇌가 아니라 척수가 우세 손을 결정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유전 외에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왼손잡이가 발현될 수 있는데, 자궁에 있을 때 남성호르몬에 많이 노출될수록 그 확률이 높다고도 한다. 왼손잡이는 유전적으로 어느 정도 결정되어 있긴 하지만 고정된 습관으로 만드는 것은 경험과 학습이기 때문에 이 습관은 쉽게 고쳐지기 어렵다고 한다. 성인이 된 나도 아직 왼손으로 젓가락질을 한다. 글씨는 겨우 고쳤지만.
우리가 어린 시절의 기억을 떠올리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비교적 난 어린 나이의 기억이 잘 나는데, 내 동생은 초등학생 이전의 기억이 거의 없다고 한다. 많은 전문가들이 어린 시절의 기억이 사라지는 이유에 대해 ‘아동기의 뇌가 급격히 성장하기 때문’ 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기억하고 있는 것도 떠올릴수록 자신의 관점과 경험을 계속 추가하기 때문에 왜곡되거나 변형된다고 한다. 내가 갖고 있는 기억도 결국 원형이 아닌 셈이 된다.
또한 아이의 지능은 아빠의 유전자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엄마의 X염색체로부터 영향을 받는다고 하니 부담이 되기도 한다. 지능은 엄마에게 물려받는 것이라니. 엄마의 지능, 그리고 직업도 보육의 질과 관련 있기 때문에 아이의 성장기에 중요한 영향을 준단다. 고정되지 않은 유동 지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말에 희망이 보인다. 지능이 바뀔 수 있다는 생각만으로도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능은 유전적으로 타고나는 것이기도 하지만, 우리 뇌는 학습을 통해 더 많은 지적 능력을 활용하게끔 만들어져 있으니까.
책은 부모들이 미처 몰랐던 복잡한 아이들의 심리를 다양한 전문가들의 심리 실험 결과를 제시하며 들여다보게 해주었다. 육아를 하기에 많은 지적 도움이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