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수필의 맥을 잇는 현대수필 작법
오덕렬 지음 / 풍백미디어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수필의 맥을 잇는 현대수필 작법

 

  작년에 우연히 오덕렬 수필가님의 <힐링이 필요할 때 수필 한 편>을 인상 깊게 읽고 이번 도서도 반갑게 신청했다. 그 때 수필시학이란 글에서 창작수필은 동동주요, 보름달이요, 축구공이다. 창작수필은 손님의 머리를 천의 모습으로 손질하는 미용사다.’ 란 문장이 좋았던 기억이 난다. 공모전에서 가장 자신있게 응모하는 분야가 수필이라 그런지 오덕렬님의 현대수필 작법을 꼭 배우고 싶었다. 그것도 오늘의 제목처럼 고전수필의 맥을 잇는 작법이라니 더욱 의미있다. 중고등학교 문학시간에 배웠던 익숙한 제목의 고전수필들이 목차에 여럿 눈에 띈다. 차마설과 조침문, 규중칠우쟁공론은 짧지만 재미있어서 아직까지 기억 속에 남아있는데 여기서 또 마주하니 반가웠다.


  저자는 서술했다. 우리 고전문학에서 서구의 에세이에 해당하는 글은 한 편도 없다고. 갑오경장 이후 우리 수필이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을 때 슬그머니 서양의 에세이가 들어와 학자들 사이에 수필이 에세이인지 아닌지에 대해 왈가왈부하다가 결국 에세이 이론에 수필을 꿰맞춘 꼴이 되고 말았다고 말이다. 수필을 에세이처럼 써야 한다는 데 동의할 수 없다는 저자는 우리 고전수필 특히 <동명일기> 한 편만 잘 연구했더라도 에세이론을 차용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라 한탄한다. 서구의 창작론에 대항하여 우리는 고전수필론을 확립하여 내놓았어야 했다고. 하지만 저자는 말한다. 고전수필의 작법에서 현대수필 창작론을 얼마든지 뽑아 쓸 수 있다고. 이병기의 <가람문선>, 윤오영의 <달밤>, 한흑구의 <보리>만 보더라도 에세이의 흔적이 없다고 했다. 우리만의 뿌리를 찾아가 볼까?

 

  책은 경험의 일반화를 주제로 드러낸 고전수필로 이곡의 <차마설>을 소개했다. 이 수필은 말을 빌려 타는 일에 관한 이야기인데, 소유에 대한 성찰과 깨달음이 주제라 하겠다. 글의 구성을 살펴보면 말을 빌려 탈 때의 마음과 자신의 소유물일 때의 마음, 그리고 소유와 관계된 인간 세상의 본질과 소유에 대한 집착을 버릴 것을 당부한 경험의 일반화를 2단으로 나누었다. 원고지 5장 정도의 짧은 분량이지만 다양한 수사법이 동원되었다. 둔마와 준마를 대조하는 대조법, 소유의 본질을 상세화하는 열거법 등이 그것이다. 좋은 작품은 수사법을 적극 활용하는 법이라 했다. 고전수필을 탐색하며 작법의 미덕을 배울 수 있으니 행복했다.

 

그 밖에도 플롯 시간에서 탄생한 의인체 고전수필인 유씨 부인의 <조침문>이라든지, 침선 도구를 의인화한 내간체 고전수필인 작자미상의 <규중칠우쟁공론>도 인상적이다. 아마 나를 비롯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고전수필 중에서도 재밌게 읽었던 기억이 날 것이다. 마지막 소개 작품은 규방의 일곱 가지 침선 도구인 자, 가위, 바늘, , 골무, 인두, 다리미를 규중 여자의 일곱 벗으로 등장시켜 인간 세상의 처세술을 해학적으로 풍자했다. 구성을 살펴보면 전반부에는 일곱 벗의 공치사(세태 풍자)와 후반부의 인간에 대한 불평과 원망(인간 비판) 으로 되어 있다. 인물 간 갈등과 사건 구성이 있기에 소설적 요건을 갖추었으나 소설은 성격사건의 이야기인 반면 수필은 사물의 마음(감성, 서정), 곧 마음의 이야기라는 점에 가전체 작품의 수필임이 분명하다. 문학은 비유 창작이기 때문에 의인화와 여러 수사법이 쓰인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게다가 조선 후기 문학이 추구하는 미학인 해학까지 들어있어 비판적 거리 없이 대상의 불합리나 모순을 드러내면서도 통찰과 동정을 보여주었다.

 

  1세기가 넘도록 우리 수필문단에 고전수필의 맥을 잇는 현대수필 작법의 개념조차 언급한 이가 없어 너무 아쉬웠던 저자는 현실을 반성하며 수년에 걸쳐 작품연구를 해온 결과를 이 책에 담았다. 신변잡기로 취급되어 온 수필에 대해 귀히 여길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수험생들을 비롯해 글을 쓰는 모든 이는 꼭 읽기 바라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