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을 아우르는 스토리텔링
랜디 올슨 지음, 윤용아 옮김 / 북스힐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을 아우르는 스토리텔링

 

과학 논문이나 하다못해 과학 기사를 보면 지루하기 짝이 없다. 설사 흥미로운 이론이나 연구라 해도 그것을 서술하는 방식이 진실, 또는 사실과 정확성에 치우친 매력적이지 않은 글이 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어떤 면에선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들 중 큰 이야기를 만들어내며 긍정적인 결과에 대한 매력이 두드러진 것들이 게재율이 높다. 허위 긍정의 확산이 과학계의 중대한 우려이며 통계적으로 유효한 의학 연구의 대부분은 대체로 과장되었다는 발표도 있다. 이것이 바로 이야기를 어떻게 만들어내는지에 대한 서사의 효과가 아닐까?

 

저자는 지루하지 않는 과학을 위한 스토리텔링 가이드를 위해 이 책을 썼다. 영화감독이 된 과학자 랜디 올슨은 과학 논문과 할리우드를 넘나들며 서사 역학을 어떻게 과학에 적용할 수 있는지 이야기했다! 문학의 서사와 과학의 사실이 어떻게 접목될지 궁금했다. 서사를 통해 과학이 한층 이해하기 쉽다면 얼마든지 허용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했다. 이를테면 특정 연구 프로그램에 관한 서사로서 ABT 구성을 예로 들었다. 연구를 간결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피치를 활용한 것이다. 수년간 베테랑 시나리오 작가들이 사용하는 서사적 직관을 목격한 저자는 이들이 사용하는 서사적 직관이 많은 문제의 근원을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어 모든 과학프로그램과 의제에 포함되어야만 한다고, 저자는 과학자들에게 촉구했다.

 

 

복잡함을 좋아하는 과학자들은 단순함을 공격하기 좋아한다. 간결하고도 반복적인 서사를 단순함과 혼돈하지 말라. 다빈치도 강조했듯 간결함이 최고의 세련됨이 아니던가. 저자가 읽었던 최고의 과학 서적 중 제임스 왓슨의 <이중나선>은 왓슨과 크릭이 DNA 구조를 발견하기 위해 다른 연구소와 경쟁했던 플롯의 전환점이 두드러졌다. 그만큼 서사 구조가 좋다는 것을 의미하겠다. 논리적이고 이성적이어야 하는 과학이 서사, 스토리텔링을 두려워해야 할 이유가 없다. 서사라고 무조건 거짓말, 허위, 과장되진 않는다. 정확하고도 사실적이며 신뢰감 있는 서사도 많이 있다. 모든 것이 헤겔 변증법의 3부 구성으로 회귀한다는 저자의 전제를 수용한다면 이야기에 대한 의미를 좀 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과학자에서 영화감독으로 변모한 저자이니만큼 영화를 통한 과학의 서사적 직관을 쌓는 방법도 나와 있었다. 뚜렷한 결과가 있는 아크플롯과 같이 최대의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 영화가 <스타워즈><아이언맨>같은 것이었다. 맥키의 삼각 구조에 보면 아크플롯 반대급부의 이야기 구조인 예술 영화들은 미니플롯이라 부른다. 또한 플롯이 없는 구조는 안티플롯이라 한다. 이런 서사 단어들부터 서사 스펙트럼, 서사 도구 등 과학을 아우르는 스토리텔링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안내해주는 랜디 올슨의 책을 한번 들여다보기 바란다. 글쓰기를 희망하는 작가들, 과학 논문을 쓰는 과학자들 모두 유심히 살펴보아야 할 내용이 가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