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기적 - 평범한 사람도 특별하게 만드는
정미숙 지음 / 한국경제신문i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독서의 기적

 

  아이를 낳고 내 역할이 늘어났다. 딸과 며느리, 아내라는 역할에 엄마라는 고귀한 역할이 주어진 것이다. 그렇지만 한편으론 육아에 몸과 마음이 지쳐 나는 자꾸 고갈되는 느낌을 받았다. 아이는 정말 사랑스러웠지만 그것과 별개로 나는 지쳐만 갔다. 학창시절과 취준생 시절 고민하고 힘들어했던 것 이상으로 나는 힘들었다. 그 이유는 를 잃어버린 느낌이 컸다. 내가 아닌 엄마로서의 내가 강조되다 보니 아이의 엄마도 임에도 불구하고 내가 아닌 것 같이 괴리감이 컸다. 저자 또한 잃어버린 를 되찾고 삶을 행복하게 만들어 줄 새로운 것을 찾기 위해 고민했다고 한다. 그것은 바로 독서. 세상 사는 이치를 아는 방법으로 독서만한 것이 없겠다. 평범한 삶이 독서를 통해 변화되고 미래를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니 하지 않을 이유가 없겠다.

 

  저자는 책을 읽은 후 자신의 생각대로 사는 방법을 찾았다. 타인의 행복에 나를 맞추기 보다는 나를 먼저 이해하고 아껴주는 것이 필요하다. 영화 사랑의 블랙홀주인공같이 타임루프에서 벗어나 마법 같은 일들이 저자에게도 일어나기 시작했다. 내가 바뀌니 주변 사람들도 바뀌기 시작하더라는 말에 눈이 휘둥그레졌다.

 

  여러 책을 골고루 읽으려 노력하지만 성공한 이들의 자기계발서는 특히 내 눈을 잡아끈다. 독서만큼 현실적인 자기계발이 또 있을까? 사람이 가질 수 있는 경험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우린 책을 통해 시야를 넓히고 삶의 지혜를 배울 수 있다. 마치 방파제처럼 한치 앞을 알 수없이 밀려오는 미래의 파도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독서는 필수다.

 

  저자는 아이 셋을 키우면서 아이들에게 해줄 조언도 책에서 얻었다. <유대인 엄마의 힘>을 읽고 아이들에게 집안일과 가게일을 맡기며 아이들이 급속도로 변함을 눈으로 확인했다. 캥거루족이 많은 우리나라 부모들에게 일침을 주는 내용이다. 성공한 이들은 목적이 없는 취미를 갖지 않는다고 한다. 항상 절제하고 노력해 자신의 꿈이 끝나지 않았음을 알고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걷는다고. <절제의 성공학>이란 책에서 화실에 다니는 취미는 크게 성공한 사람들이 갖는 취미라고 말했다고, 성공 근처에 가지도 못했으면서 그들의 취미를 따라하는건 가난을 달라고 하는 것과 같다고 했단다. 마치 지금 즐거우면 나중에 궁하다는 격언이 떠오르는 순간이다. 하지만 이 내용에 100% 공감하진 못하겠다. 재미로 시작했던 취미라도 그것이 직업이 될 정도로 전문적인 사람이 되는 경우도 있으니까. 어찌됐든 책은 우리에게 꿈을 찾기 위한 많은 조언과 도구를 가르쳐준다.

 

  책을 읽는 행위는 그것대로 실천함에 따라 인생을 바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부디 저자와 같이 평범한 인물이 독서를 통해 삶이 바뀐 경험을 한 것처럼 우리도 당장 책을 펼쳐서 이 강력한 무기를 들고 삶을 개척해 나가보자. 이미 앞서간 사람들이 우릴 이끌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