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키는 이렇게 쓴다
나카무라 구니오 지음, 이현욱 옮김 / 밀리언서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키는 이렇게 쓴다

 

수수께끼 같은 긴 제목으로 뭔가 일어날 것 같은 암시를 준다.

시점을 제멋대로 바꿔서 독자들이 꿰어 맞추게 한다.

기묘한 신조어로 깊은 여운을 남긴다.

 

  이런 특징을 가진 작가가 누구일까? 무라카미 하루키가 떠오르지 않는가? 우리나라에서도 인지도가 가장 높은 일본작가라고 단언할 수 있겠다. 단편, 장편소설, 에세이, 기행집 등 집필활동도 활발한데 외모는 우리 동네 택배기사님과 비슷해 친숙하다. 하루키는 데뷔 당시부터 의식적으로 평이하고 친숙한 문장을 구사했는데 그것은 낮은 문턱으로 마음에 호소하는문장, 즉 미국의 브로티건과 보네거트 작가에게 받은 영향이라고 밝혔다. 반면 평이한 문장에 반해 스토리가 비교적 난해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는데 그는 독자들에게 논리가 아닌 이야기로 텍스트를 이해해달라고 촉구했다. 마치 격렬한 은유라 칭하며 영혼의 깊은 부분에 있는 어두운 영역을 이해하고자 밝은 영역의 논리대신 이것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소위 하루키 칠드런이라 불리는 하루키의 영향을 받은 작가들도 배출하고 있다. 이번 서평도서 <하루키는 이렇게 쓴다>는 그의 맛있고 화려하며 환상적인 문장들을 대거 발견할 수 있는 작품들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신선한 문장의 맛을 가볍게 맛볼 수 있는 에피타이저와 같은 작품부터 깊고 유장한 서사의 세계를 발견할 수 있는 메인요리 격인 작품으로도 인도한다. 기대된다!

 

  이 책을 맛있게 읽는 법은 저마다 다른 재료를 버무려 기상천외한 맛을 발견함에 있다. 무려 33가지 작법으로 그를 읽.. . .. 그의 문체는 망상력, 오마주력, 실험력, 재구성력 등 다양한 힘이 있는데 맨 뒷부분에 수록된 작품목록을 따로 복사해 아직 읽어보지 못한 작품은 놓치지 않고 찾아보고 싶을 정도였다. 하루키의 작법 중 인상 깊은 것이 몇 가지 있었다. 첫 번째는 수수께끼 같은 긴 제목을 붙이는 것이다. 내가 좋아하는, 가수 잔나비의 곡들도 제목이 무척 길다. <뜨거운 여름밤은 가고 남은 건 볼품없지만>이라든지 <사랑하긴 했었나요 스쳐가는 인연이었나요 짧지 않은 우리 함께했던 시간들이 자꾸 내 마음을 가둬두네>와 같은 제목이 그렇다. 마치 하루키를 의식한 듯. 일반적으로 문장을 쓸 땐 제목을 짧고 쉽게 짓는 편이 좋다지만 하루키의 발상은 완전 정반대다. 긴 제목에 아리송한 의문까지 더한 이런 방식은 강력한 단어를 무작정 충돌시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기법으로 밀리언셀러가 된 명작의 진수를 응축해 자연스럽게 재구성하는 것이 그의 제목 짓기 기본 구조랄까?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라는 작품은 주인공의 이름과 앞으로 일어날 일을 암시하는 전형적인 제목인 것이다. 마치 <닐스의 신기한 여행>과 같은 형태를 따라하듯.

 

  하루키는 반자전적으로 자신의 분신을 묘사하는 작법을 구사하기도 한다. 그의 문학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는 하루키 자신이며 이야기 안에서 사는 분신이기도 하다. 자신의 분신을 아주 세세히 정성을 들여 그리는 것이 그의 매력인데 이렇게 자신을 표현하는 것은 자기 치유라는 측면이 강했다고 하루키는 말했다. 소설의 등장인물과 작가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하루키의 문체를 들여다보면 명언이 여기저기 튀어나오는 인용력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노르웨이의 숲>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는데 유난히 세계적 대문호들의 고전명작을 인용하는 부분이 많았다. 도스토예프스키의 도박과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을 흉내내며 젊은이들의 내면심리를 묘사하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심지어 비틀즈의 음악도 나온다! 명작을 인용해 더 큰 명작을 만들어내는 천재다.

 

  그의 문장을 읽고 있으면 사로잡는 무언의 힘이 있다. 그리곤 나도 이렇게 쓰고 싶다는 열망이 생긴다. 맛있는 문장을 쓰는 47까지 규칙을 적용해 모방해본다면 글쓰기의 노하우를 확실히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