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다시 연결되어야 한다 - 외로움은 삶을 무너뜨리는 질병
비벡 H. 머시 지음, 이주영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다시 연결되어야 한다.

 

  저자는 말했다. 지금의 세대는 역사상 가장 잘 연결된 세대라고.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마치 뉴런처럼 매우 섬세하게 말이다. 그런데 그 와중에도 우리는 외로움을 느낀다. 그저 누구나 겪는 일시적인 우울한 고립감정도로 치부해야 될까? 미국의 공중보건위생국장이었던 저자는 그저 가벼운 감기쯤으로 여겨지는, 이 심리상태를 주목했다. 그는 인도의 이민자로서 미국의 주류 지배계급에 속한 이가 아니다. 이 이질적인 미국 문화에서 아웃사이더로 살며 겪은 외로움의 실체를 누구보다 잘 알았다. 이것을 보이지 않는 질병으로 직시하고 본격적으로 다뤘다는 사실에 의미가 있다.

 

  1부에서는 외로움과 사회관계의 기초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췄고 2부에서는 개개인의 삶에서 각자 해결해야 하는 관계들을 다뤘다. 외롭다는 낙인을 극복하고 우리는 모두 연약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그리고 이 만연한 외로움에서 인간관계가 지닌 치유력이 얼마나 강한지도 말이다.

 

  우리가 겪는 아주 큰 기쁨의 순간들은 대개 타인과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한다. 아이가 탄생하고 사랑에 빠지며, 보고 싶은 친구들과 재회하는 것들 말이다. 반면 매우 큰 슬픔의 순간은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연인과의 이별 등 상실과 분리를 수반한다. 그러므로 관계는 본능과 같이 여겨진다. 인류학자들도 역사적으로 인간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까닭은 힘이나 속도 같은 신체적 이점이 아니라 사회집단 안에서 관계 맺는 능력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관계 욕구와 외로움이라는 신호가 우리 몸과 마음에 내장된 메커니즘이라는 전제하에, 집단주의의 그림자도 언급한다. 극단적인 예지만 여전히 중동이나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가족들에게 수치심을 안겨준다는 이유로 명예살인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저자는 제 3의 문화그릇, 외로운 카우보이들, 자신을 비난하는 여성들과 같은 소제목으로 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외로움에 직면했을 때, 연결된 삶을 만드는 방법 중 우선되어야 할 것은 가장 진실된 감정을 공유하는 것인데, 즉 나 자신의 친구가 되어주는 것이다. 자기 자신과의 관계가 가장 중요하다. 역설적이지만 세상 속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우리는 스스로에게 좋은 친구가 되겠다는 마음으로 친절, 격려, 솔직함을 가지고 자신을 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차분히 걷는 것, 힘든 날 내게 격려의 말을 해주는 것, 감기 기운이 느껴질 때 일찍 잠자리에 드는 것 등이 그런 방법이다.

 

  이 책은 자신 외에도 인생의 모든 단계와 위치에서 친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종의 관계의 원그리기를 통해서 핵심층(가까운 친구와 측근), 중간층(가끔 만나는 친구), 바깥층(동료와 지인)을 구분하고 공동체를 느끼는 것이다.

 

  코로나19로 물리적인 관계의 단절이 지속되다보니 우리의 마음마저 메말라감을 느낀다. 외로움을 논하는 절실한 때이다. 저자인 머시 박사의 설득력 있는 이야기는 이제 담론을 형성할 때가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