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ZOOM IN 블록체인
블록킹팀 지음 / icox(아이콕스)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804/pimg_733586190262926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804/pimg_733586190262926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804/pimg_7335861902629266.jpg)
블록체인? 비트코인? 이런 방면엔 문외한인 나였다. 하지만 이건 달나라의 환상적인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일상에서 이미 일어나고 있는 기술이란 말씀. 사실 블록체인 기술이 나오게 된 배경은 기존 장부 문제를 해결하려는 데 있다. 여러 방면의 응용과 시도. 그래서 엄마의 가계부나 은행의 가계부와 원장, 계모임 등 여러 비교를 들어 블록체인에 대해 설명했다. 이 기술이 어려운 이유는 일단, 전문가들이 만든 용어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고 도대체 이 기술로 무엇이 좋아진다는 것인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눈앞에 보여지는 기술이라기보다 시스템 안쪽에서 벌어지는 기술이기에 일반인들의 공감을 얻긴 상당히 어려운 게 사실이다. 하지만 중앙기관을 거치지 원장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목적. 기존 금융은 ‘숨김’ 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했다면 블록체인은 ‘공개’ 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한다는 게 가장 큰 차이점이자 특징이다.
책은 체스, 기린, 길벗이라는 세 등장인물이 각각 블록체인 업계에서 비즈니스팀, 개발, 암호화폐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며 대화체로 시작한다. 소꿉놀이에 비유하여 쉽게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고 암호화폐의 고수가 되는 길을 다소 과장하여(이를테면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구매한 뒤 개인 지갑(하드 월렛) 에 비트코인을 옮겨보고, 가격에 폭락하여 멘붕을 경험해보는 등) 표현하며 블록체인의 구성요소와 원리를 이야기했다. 게임이론이나 수수료, 학종이 발행 등을 언급하며, 쉽게 와 닿는 친숙한 용어로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다.
난 암호화폐가 비트코인만 있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이더리움, 다크코인, 이오스, 리플 등 다양한 암호화폐가 존재했다. 그 중에서도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이 갖지 못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하기 위해 탄생했다고 한다. 다양한 조건의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서다. 다크코인은 이름대로, 거래내역 추적을 막기 위해 나왔고 이오스는, 이더리움의 라이벌로 지칭되며 블록체인 계에서 가장 핫한 두 개의 기둥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름이 OS(컴퓨터 운영체제)를 빗대, 블록체인계의 컴퓨터, 또는 윈도우가 되겠다는 거라고 설명했다. 쉽게 이야기하면 부동산 모델이라고 할까? 땅은 이오스, 그 땅 위의 건물은 서비스를 만드는 셈이다. 결국 블록체인에서의 거래 처리량이 늘어나고, 이오스에서는 땅처럼 거래처리량을 서로 빌려줄 수도 있단다.
블록체인은 단일 기술이 아니기에 중앙화된 권력이 이를 다루기도 한다. 금융권은 이를 견제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의외로 금융권이 블록체인 기술도입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아직까진 인증과 보안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탈중앙화는 금융권에서 다루기엔 민감한 부분이 많단다. 또한, 분산화가 꼭 좋은 것인지, 블록체인이 만병통치약인지 이 기술에 대해 고찰해보아야 할 점을 지적했다. 지금은 아주 초기 단계이기에 맹목적 믿음을 경계하고 이것의 탄생배경, 문제점, 본질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개선방안을 찾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끝맺었다. 중간 중간 재미로 볼 수 있는, 사기 코인 판별법이라든지 저자인 팟캐스트 블록킹팀의 에피소드도 실어놓아 무겁지만은 않았다.
블록체인의 기본적인 상식과 실체에 대해 어느 정도 알게 되어 뿌듯했다. 궁금하면 읽어보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