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를 처음 시작했습니다 - 초보 라이터를 위한 안내서
고홍렬 지음 / 세나북스 / 202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글쓰기를 처음 시작했습니다
이 책은 글쓰기에 대해서 가르치지 않는다. 글쓰기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지금 당장 쓰기 시작하도록, 시작한 글쓰기를 계속 이어나갈 수 있도록, 그러는 가운데 글 잘 쓰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글을 잘 쓰고 싶은 사람은 많지만, 글을 잘 쓰는 사람은 드물다. 나 역시 막연하게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생각은 하지만 방법을 몰라 헤매고 있던 찰나였다.
저자 고홍렬님은 요즘도 새벽 4시에 일어나 글을 쓰면서 ‘자꾸 쓰다 보면, 따로 배우지 않고도 글을 잘 쓸 수 있다’ 라고 믿고 그것을 증명하고자 한다. 글쓰기를 독학으로 배우셨다니 나같은 초보 라이터에게도 희망이 되는 사실이다. 이 책은 글쓰기를 해야 하는 이유, 글을 쓰는 자세, 글쓰기 연습 방법, 글을 습관적으로 꾸준히 쓰는 방법을 다루었다. 모든 장은 일단 글쓰기를 시작하도록 부추기고, 시작한 글쓰기를 계속하게 하고, 아예 습관적으로 계속 쓰도록 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목차를 보면서 끌리는 제목을 발췌하여 먼저 읽었다. <글쓰기는 삶의 밀도를 높이다>나, <구상에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지 마라>, <메모하지 않는 작가는 없다> 와 같은 것이 그렇다. 특히 마지막에 언급한 메모에 대한 내용은 많이 공감되었다. 메모를 잘하는 작가 이평재는 평소 모든 일에 안테나를 세운다고 한다. 주부들의 수다에서부터 산책하는 부부에 이르기까지,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메모의 소재가 된다. 메모는 글을 쓰기 위한 자료를 모으는 일과 같은데 마치 글쓰기에 필요한 다양한 모양의 레고 조각을 쌓아두는 것과 흡사한 것이다. 적당한 조각이 많을수록 좋은 글을 쓸 확률이 높아지기에.
<쓰기의 감각> 저자 앤 라모트는 “일단 쏟아내야 합니다.(중략) 글의 내용이 중요하지 형식이나 문장력은 그다음이에요.”라고 말했다. 저자도 조언한다. 처음엔 그냥 무조건 책상에 앉아서 글을 쓰면 된다고. 글 쓰는 행위를 통해 손가락을 움직이기 시작하면 뇌도 함께 움직여 우리가 생각지도 못했던 아이디어가 떠오르기도 한다는 것. 터무니없는 글이라도 일단 써봐야겠다는 생각이 이때 들었다. 생각의 조각이 모여 글이 되고 책이 될 수도 있겠단 자신감이 들었다. 무엇보다 글쓰기가 습관이 되면 탄력도 붙고 힘도 덜 들 것이란 저자의 말처럼, 매일 써야 글쓰기 내공이 생긴다. 자신만의 철저한 루틴으로 유명한 임마누엘 칸트와 같은 대가도 일상이 마치 컨베이어 벨트가 돌아가듯 일정한 계획에 따라 흘러갔으니 나도 글쓰기에 습관을 들여 봐야겠다고 다짐했다. 그것의 8할은 지금 하고 있는 작업인 서평쓰기다. 마치 근육처럼 몸에 붙는 습관이 된다면 나도 작가가 될 수 있겠지? 그리하여 글을 잘 쓰는 사람은 ‘있어’ 보이고 실제로도 ‘뭔가 있는’ 사람이 되어 있기를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