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치가 없어 고민입니다
구로카와 이호코 지음, 김윤경 옮김 / 넥서스BIZ / 2020년 3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08/pimg_733586190250684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08/pimg_733586190250684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08/pimg_7335861902506850.jpg)
눈치가 없어 고민입니다
우린 종종 오해한다. 우리 주변에 있는 공감장애를 가진 사람들 때문에. (물론 상대방에겐 내가 해당될 수도 있다.) 이런 사람들은 나를 힘 빠지게 만들고 서운하게 만든다. 주변엔 아랑곳없이 무신경하고 시큰둥한 것 같다. 하지만 이것이 의도적이거나 성향이 나빠서가 아니라 ‘뇌’ 가 인식하는 기능의 일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이라 하니. 그동안 나 혼자 속앓이를 했던 것이 억울할 정도다. 저자는 이야기한다. 공감장애는 지금껏 아무도 지적하지 않았던 뇌의 상태라고. 외곬으로 진지한데 게으르고 오만하다고 평가받는다.
남녀 간의 생각차이는 알고 있다시피 너무 고전적이고 전형적이다. 이를테면 사소한 이해와 공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여자는 상대의 생각과는 관계없이 신속하게 결론을 이야기하는 남자를 보고 상처받고 화가 난다. 마치 나에게 일어난 일이나 나의 생각 따위는 중요하지 않다고 이야기하는 것 같기에. 하지만 이런 남녀 간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의 뇌는 다르다. 그래서 받아들이는 기준 또한 다르기 때문에 당연하다고 생각하여 언급조차 하지 않았던 내용이 정반대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럴 수가!
1장에서는 인식프레임에 따라 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본다고 설명한다. 공감장애를 가진 사람은 이 차이를 감지하는 능력이 부족해서 상대의 의식이나 태도를 느낄 수 없다. 의식의 채널을 연결할 수 없는 것이다. 2장에선 공감장애의 정체를 낱낱이 파헤치고 마지막 3장에선 그것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모색했다. 아인슈타인은 범인들의 전형적인 인식프레임이 부족했던 반면 독자적인 인식프레임은 풍부했다. 누구나 이 둘을 겸비하고 있지만 아인슈타인은 후자에 치우쳤던 것 같다. 다행히 인식프레임 성장 능력이 높아 약간은 넋이 나간 개성적인 아이에서 조금 색다르고 사랑스러운 젊은이로, 그리고 창의성이 넘치는 매력적인 천재로의 길을 걸었다. 우리가 바라 않는 공부와 배우는 것에 강한 전형적인 인식프레임을 갖고 있는 모양은 자신의 상식이 통용되지 않는 상황에선 극단적으로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아인슈타인같은 괴짜 친구를 사귀는 것도 한 방법이다.
책은 자폐증, ADHD, 언어습득 메커니즘, 뉴런, 뇌과학 등을 언급하였고 오늘날 늘어가고 있는 공감장애에 대해 인사와 같은 태도가 수반되는 개념의 중요성, 타인의 태도를 잘 인지하지 못하여 풍경의 일부로 보는 상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해야 하는지 또한 이과계열의 센스도 공감력에서 비롯된다는 사례들을 보여주었다. 눈치와 공감장애의 상호관계를 통해 우리가 풀어가야 할 인간관계, 나의 정답이 누군가에겐 오답이 될 수 있다는 인정, 다름의 이해 등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