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감한 사람을 위한 감정 수업 - 왜 나는 사람들 반응에 신경 쓰고 상처받을까?
캐린 홀 지음, 신솔잎 옮김 / 빌리버튼 / 2020년 2월
평점 :
절판
민감한 사람들을 위한 감정 수업
오늘 티비 프로그램 ‘동상이몽’을 보는데, 라니의 심리검사를 유심히 보게 되었다. 라니는 사회적 민감성이 뛰어난 아이, 다르게 말하면 예민한 기질의 아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런 기질의 사람은 자율성이나 자존감이 높기 쉽지 않다는데 부모의 양육태도로 아이의 자율성도 꽤 높게 나와서 다행이었다. 이것을 보니 나도 지금보단 어릴 때 꽤 정서적으로 민감하고 예민한 아이였던 것 같다. 타인의 감정을 상하게 할까 봐 신경을 많이 쓰거나 부당한 일이 발생해도 참고 넘어가거나, 내 연락에 친구가 답장을 하지 않으면 ‘나한테 화가 났나?’ 라는 생각부터 하게 되는 내 모습.
내 모습과 유사한 ‘정서적으로 예민한 사람들’ 의 특징이 이 책에 나와 있었다. 그것에 그치지 않고 감정의 실체를 깨달으며 동요를 줄이고 마음을 평온하게 하는 다양한 방법까지 제시되어 있었다. 예민하다는 것은 그 감정에 압도당하지만 않는다면 깊은 유대감, 따뜻한 마음으로 삶의 의미와 만족감을 더해준다. 분명 타인의 감정을 잘 읽어낸다는 것은 신뢰할 수 있는 조력자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지만 반면, 타인이 나의 감정에 지나치게 큰 영향을 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자주 불쾌한 감정을 느끼거나 고통스럽기도 한다. 특히 거절에 민감하여 마음의 평온함에 큰 걸림돌이 된다. 최고의 선물이자 최대의 난제인 ‘예민함’은 다루기에 따라 긍정적인 면을 발달시킬 수 있다.
책은 감정에 지배당할 때 할 수 있는 응급 처치법부터 기본적인 생활습관(수면과 운동, 정리정돈 등), 그리고 정서관리에 중요한 마음챙김에 대해 언급한다. 우린 감정의 원인을 찾으면 실체도 파악할 수 있다. 판단하고 해석하는 태도를 버린다면 나와 상대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타인과 비교하지 않는다든지, 판단을 달리 표현한다든지(화법의 변화), 나름의 이유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이 그 방법 중 하나이다.
결론은 꾸준한 연습이라고 저자는 이야기했다. 하루아침에 바뀌는 게 쉽지 않을 우리의 기질과 습관, 행동과 생각패턴을 시간과 노력을 들여 자유재로 다스릴 수 있다면 해볼 만한 도전이다. 무엇보다 자신의 평안을 위해 감정을 다스리는 연습이니까. 나도 사람들 반응에 신경 쓰고 상처받는 대신 이 책의 수업내용을 충실히 따르며 연습해보기로 결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