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성적으로 살기로 했다
서이랑 지음 / 푸른영토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내성적으로 살기로 했다

 

  우린 왜 인싸가 되려는 것일까?

외향적이 되고 싶어서 내성적인 성격을 틀리다고, 고쳐야 할 성격이라고 생각하며 바꾸고 싶어 하진 않았나? 솔직히 그랬다. 타고난 성격도 자신의 의지로 바꿀 수 있다고 믿으며 내성적인 내 모습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럴 필요가 없었는데.

 

  이 책에서 저자가 언급한 오베라는 남자만 봐도 그렇다. 오베는 비사교적이고 내성적이며 까칠한 남자인데 사람들에 의해조금씩 달라지며 구제되는 이야기가 책내용이라고. 그렇다면 결론은. 성격이 바뀌지 않는다면 구제불능이란 얘기 아닌가. 사교적인 사람만이 행복한 사람인가?

 

  왜 우린 내성적인 성격을 싫어하는 걸까? 내성적이라고 모두 소심하고 답답하며 까칠하다는 동의어는 아닌데. 저자 또한 수많은 상황에서 자신의 성격 때문에 곤란함을 겪었다. 특히 대화라는 놀이공원에서라는 글에 눈길이 갔다. 익숙한 사람과의 대화는 회전목마를 타는 듯 편안하다. 왜냐면 정해진 방향과 속도로 돌아가기에 대화의 방향이 예측 가능하니까. 하지만 가깝지 않은 사람과의 대화는 운전하지 못하는 범퍼카에 올라탄 기분이라고 표현했다.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내가 통제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힘들어한다. 그것이 내향적인 사람의 가장 큰 특징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성격은 에너지를 내면으로 쏟을 때 편안함을 느낀다. 적어도 외부보단 한 사람이 완전하게 통제할 수 있는 자신의 내면과 마주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내성적인 나를 사랑하기보다 나의 내성적임을 사랑하고 싶다고 했다. 언뜻 비슷한 말 같은데 곱씹어보니 이해할 것 같았다. 서이랑 작가의 친필사인을 보니 마치 내게 다가와 다정하고도 살며시 이야기하는 듯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