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주의자
류광호 지음 / 마음지기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문화주의자

 

  ‘포용과 융합의 다문화사회로 가는 여정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수단과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필요하다면 회유와 위협, 폭력도 허용될 수 있다.’ 라는 맹목적이고도 읽는 이의 소름을 돋게 만드는 기록. 이 소설의 등장인물 청년 이주노동자 인권운동가 한성주의 글이다. 하루아침 그는 납치되어 사라지고 시신으로 발견된다. 또 다른 등장인물은 그와 정반대 입장에 선 보수 논객 송우석과 이들의 날 선 공방전을 지켜본 신문기자 종훈. 또 심승우, 전민준 기타 등등.

 

  한성주의 수첩을 진보지상주의자의 교리문답이라 칭했던 송우석은 그것이 진보지상주의자들의 위선과 속내를 완벽하게 드러낸 문서라고 이야기했다. 하인리히 힘러를 닮은 전민준은 인종주의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었고 말이다. 어찌됐든 한성주가 살아있을 때 송우석과 논쟁을 벌인 다문화에 대한 모든 것은 현재 우리나라 상황을 현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어 흥미롭게 읽혔다.

 

  단일민족의 국가 환상이 깨진 지 오래인 우리나라의 다문화 혼인건수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고, 다문화학생수는 작년 13만 명을 넘어섰다. 그들을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일지에 대한 고민은 여전히 계속 되고 있다. 내가 근무하는 곳도 중국에서 온 이주민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얼마 전 예비소집일때도 외국국적을 가진 아이가 많이 등록하러 왔다. 교육당국의 다문화 정책이 신중해야 하는 이유는 특정 지역을 중국어 특구로 만들면 이주민들로 게토(집단거주지)화 되기 때문이다. 100일도 남지 않은 선거를 앞둔 이 시점에선 다문화, 이주민정책에 대한 발표를 어렵지 않게 검색해볼 수 있다. 국적법, 출입국관리법, 난민법 등 중구난방으로 쪼개어진 법들을 가리키며 정책 조점을 다양성 공존이라는 새로운 기조에 담아낼 것을 약속한 후보도 있었다. 한편 이자스민 전 국회의원은 빈틈 많은 난민법을 조례로 보완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최근엔 한 원어민교사가 우리 시대의 외국인 혐오에 던진 경종이라는 기사도 검색되었다. 한국계 외국인교사나 한국인교사에겐 실시하지 않는 에이즈, 마약검사를 외국인교사에게만 강제하는 것을 두고 한 원어민교사가 진정을 냈다. 법무부는 외국인강사에게 에이즈 검사를 강제하던 고시를 폐지하였고 피고 대한민국은 상소를 더 이상의 상소를 포기함으로써 인권보장에 철저하지 못했던 모습을 반성하였다는 것이 요지다. 산재가 6배나 높은 이주노동자들은 우린 죽으러 오지 않았다며 고용허가제와 미등록 강제단속을 폐지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이 소설을 보며 각 등장인물들이 다문화에 대한 시각이 모두 달라 통합되기 참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분명 쉬운 일은 아니다. 나 또한 무의식적으로 이중 잣대를 갖고 있었음을 반성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생존과 직결된 이들의 안전. 그리고 우리의 시각. 작가는 우리에게 다문화사회로 들어선 대한민국에서 어떻게 공존해야하는지 이야기하고 싶은 것 같다. 진지하게 읽은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