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 아이의 놀라운 자존감
오여진 지음 / 북아지트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자녀교육 # 책읽는아이의놀라운자존감

 

 

 

 

 

책 읽는 아이의 놀라운 자존감 책아놀자

 

  엄마가 책에 파묻혀 살면 아이에게 자연스럽게 책읽는 모습을 보여주며 독서에 관심을 갖게 할 수 있을 것 같다. 문제는 본보기가 어렵다는 사실. 가정독서 모임을 소개한 저자는 책읽기가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고 책과 더불어 놀 수 있기에 아이가 성장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고 이야기했다.

 

  사실 사람은 글로만 배우지 않는다. 특히 영유아기 시절에는. 몸을 움직이고 주위를 둘러보며 관찰, 모방하며 배운다. 나도 날 현혹시키는 수많은 교구와 교재들로 아이를 힘들게 하지 않고는 싶은데,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아이에게 좋은지는 잘 모르겠다. 가르치겠다는 생각부터 잘못된 것일까? 어린 시절 기본적으로 익혀야할 삶의 바탕은 사교육으로 이뤄질 성질의 것이 아니다. 자극적으로 노출시켜 아이를 예민하게 만들지 말고 애정어린 교감을 더욱 우선시 해야 한단다.

 

  18년차 초등교사이자 두 아이의 엄마인 저자는 고등학교 국어 선생님이셨던 아버지를 기억하면 어릴 때 전집이 꽉꽉 들어차 있는 모습을 떠올린다. 그 중 잊지 못할 책들은 세계명작전집의 소공녀랄지 고등학생때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읽었던 자신의 시절이 기억난다고 했다. 소공녀는 우리 엄마도 참 재미나게 읽었다고 내게 말씀해준 기억이 난다. 권정생 선생님의 우리들의 하느님이라든지 광고인 박웅현씨의 책은 도끼다같이 그동안 수많은 책을 들여다보며 저자의 방향성을 수정해주고 도움을 주었던 책들을 소개했다.

  첫째 3학년 때 저자는 아이의 학원을 모두 끊고 바로 집으로 오게 했다. 집 앞 놀이터에 아들을 보내 또래 친구들을 모두 데려오라 시켰단다. 컴퓨터와 게임, 티비만 통제했는데도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프로젝트 학습에 몰두하게 되었다. 한동안 자신이 좋아하는 소재의 책을 만들기도 하고, 곤충탐구에 몰두하기도 했다. 한 주제에 몰두할 때 관련 서적을 주면 외울만큼 그 책만 보고 활동하며 하루종일 보낸다. 이런 시도는 그녀가 육아휴직을 했기에 가능했고 아이를 학원에 보내지 않고 종일 자신에게 보내주는 부모님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리고 서로 믿고 함께 했던 것. 그것이 중요했다. 한 인간이 개인의 역량을 가장 극대화시킬 수 있는 힘이 공동체의 소통과 협력에 있다고 생각한 그녀는 이렇게 가정 놀이터를 만들어 아이를 지켜보며 성장하는 모습을 느꼈다.

 

  이 책에는 느리지만 아이들은 반드시 변한다고,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건 결국 자존감이라고 말한다. 독서의 잠재력은 아이의 평생을 좌우하며 특히 인성독서는 중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엄마의 독서>라는 코너엔 책을 소개하기도 하고, 따라하기 쉬운 학년별 책모임 사례라든지 독서토론 교육을 이야기했다. 책으로 노는 시간일 뿐이라는 저자는 책을 통해 머리와 마음으로 어렴풋이 깨달았으면 수많은 놀이와 경험으로 그 사실을 이해하고 깨달아나가야 하는 것이 아이들의 공부 방식이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난 부모로서 이 책을 여러 번 정독하고 내 사고방식을 교정해나가는 중이다. 더불어 우리 아이에게 책을 만나게 해주고 이것이 단순히 성적을 올리는 도구로 전락하는 것이 아니라 삶을 빛나게 해줄 지혜가 되도록 옆에서 도와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